초연결2 인공지능과 키르케고르(2) 계속해서 "초연결"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초연결의 대표적인 예 중에 하나가 자율주행차일 것입니다. 자율주행차는 구현하기 굉장히 어려운 기술입니다. 일단 사람과 사람끼리 당연히 연결이 되어야 하고요, 차와 사람, 차와 차가 연결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자율주행차는 아마 불가능할 겁니다. 만약 단 1초만이라도 연결이 끊기면 어떻게 될까요? 단 1초도, 단 1초도 엄청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터널을 통과하는데 갑자기 인터넷이 끊긴다면? 자율주행차로 움직이는 세계에서 터널 안의 1초는 차들을 무용지물로 만들어버립니다. 곧, 어마어마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초연결"이란 아마 이런 것을 의미할 겁니다. 우리는 이런 점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을 생각해 봐야 합.. 2020. 1. 23. 인공지능과 키르케고르(1) 이 글은 이북 해제입니다. 이제 지금부터는 키르케고르의 새와 백합의 의미를 기술사회와 연결지어 해석해보려고 합니다. 4차 산업혁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바로 초연결이지요. 그동안 SNS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사람과 사물, 심지어는 사물과 사물 간에도 인터넷이 연결되고 모든 것은 네트워크로 연결됩니다. 우리는 이런 인간을 일컬어, 호모 커넥투스(Homo Connectus)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초연결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의사소통이 빛의 속도로 이루어진다는 점입니다. 수많은 데이터들이 생산되고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인공지능이야말로 가장 각광받는 기술 중에 하나입니다. 데이터 패턴을 알면 미래를 예측할 수도 있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 2020. 1.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