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소개101

마음의 청결, 47쪽 해설 "다른 무지도 있습니다. 이것은, 사람이 날마다 조금씩 점점 더 배워가면서 지식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 각주는 바울의 편지인 고린도전서 13장 12절에 대한 직접적인 신학적 인용입니다. 덴마크어 본문에서 “der læres stykkeviis … forvandles til Kundskab”(조각조각 배우다가 결국 지식으로 변화된다)는 표현은, 신앙인의 현세적인 인식의 부분성과 그것이 완전한 인식으로 변화되는 미래의 상태에 대한 바울의 진술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고린도전서 13:12 (덴마크어 1819역): “Nu erkender jeg stykkevis, men da skal jeg kende fuldt ud, ligesom jeg selv er kendt fuldt ud.”(한국어 개역개정: “우.. 2025. 5. 28.
죽음에 이르는 병 해설, 구원 및 종말론 🕯 키르케고르 실존 사상의 통합 구조 (절망–실존–구원–종말론) 1. 절망(절망은 병이다: 실존의 붕괴 상태) 정의: 자기가 자기 자신임을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 곧 하나님 앞에서 영혼으로 자기를 자각하지 못한 상태절망의 형태설명무의식적 절망자신이 절망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상태 (겉으론 평온, 내면은 죽음)의식적 절망자기가 절망하고 있음을 아는 상태 (자기 자신과의 충돌이 시작됨)의식적 절망의 두 극단(1) 자기를 포기하고자 함 / (2) 자기를 자기 자신으로 삼고 하나님을 거부함 핵심 문장: “가장 치명적인 절망은, 자기가 절망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것이다.”→ ‘숨파라네크로메노이’: 함께 죽어 있으나 살아 있다고 믿는 자들 (심미적 실존) 2. 실존(자기됨: 하나님 앞에 단독자로 서.. 2025. 5. 24.
마음의 청결, 40쪽 해설, 회개와 죄의 거리 ."회개가 더욱 먼 거리에서 죄를 볼수록, 하나님께는 가장 큰 기쁨이 됩니다."(40쪽) 🇩🇰 원문 번역 죄책(Skylden)은, 그것을 가까이에서 보면 볼수록 더욱 끔찍해 보인다. 그러나 회개(Angeren)는, 하나님의 눈에는 가장 기쁘게 받아들여지는 것(Gud velbehageligst)이다. 왜냐하면 회개는 선을 향한 길 위에서, 멀리서 죄를 바라보며 그것을 꿰뚫어 보기 때문이다. ✨ 해설이 문장의 핵심은 죄책과 회개를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과 거리의 변증법에 있습니다. 📌 대조 구조요소죄책(Skylden)회개(Angeren)시선의 방향가까이에서 볼수록 더 끔찍하다멀리서 볼수록 하나님께 기쁨이 된다위치죄 속에 머무는 실존죄에서 벗어나 선의 길을 걷는 실존효과절망, 자기기만, 마비자유, 생명,.. 2025. 5. 21.
"가장 건강하다고 믿는다면," 마음의 청결 30쪽 해설 "가장 건강하다고 믿는다면," 📖 번역 및 주석 ◄ troer sig sundest: 죽음을 앞두고, 잠시 생명력이 반짝이는 듯한 착각을 경험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즉, 임박한 죽음을 앞둔 사람이 오히려 자기 상태가 가장 건강하다고 느끼는 착각적인 순간을 말함. 💡 신학적・실존적 해석 (키르케고르 문맥에서)이 표현은 키르케고르가 자주 사용하는 “절망(despair)“과 자기기만(self-deception)의 패턴에 정확히 들어맞는 실존적 은유입니다. 📌 “죽기 직전에 가장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현상의미신체적으로죽음을 앞둔 환자가 오히려 일시적으로 활기를 느끼는 것 (의학적으로도 보고됨)실존적으로가장 깊은 절망에 빠진 자가, 스스로를 가장 행복하고 건강하다고 착각하는 상태 ▶ 이는 『죽음에 이르는 .. 2025. 5. 21.
폐결핵에 대하여, 마음의 청결 30쪽 해설 "폐결핵" 덴마크어 의미 해설 📖 번역 ◄ Tæring: 점차적으로 몸이 쇠약해지고 말라가게 하는 여러 가지 만성 질병을 가리키는 표현. 또는 신체의 특정 기관이 점차 파괴되고 소모되어 가는 상태를 의미함. 💡 신학적・실존적 의미 (키르케고르 맥락에서) “Tæring”은 단순한 병리적 상태를 넘어서, 키르케고르에게 있어 영혼의 병, 곧 “죽음에 이르는 병(Sygdommen til Døden)”의 메타포로 자주 사용됩니다.문맥의미신체적육체가 말라가고 사그라드는 병실존적인간의 자기 자신에 대한 기만, 또는 신 앞에서의 진실한 존재 상실이 서서히 죽어가는 병 예: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 키르케고르는 죽음이란 신체의 종말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끊어진 자기 상실이라고 말합니다. 이때 “Tæring.. 2025. 5. 21.
하나님 뜻대로 하는 근심, 마음의 청결 29쪽 해설 하나님 뜻대로 하는 근심, 고후 7장 10절 참고 📖 원문 번역 ◄ Bedrøvelsen efter Gud: 하나님을 따르는 슬픔, 또는 하나님의 뜻에 따른 슬픔이라는 의미이다. 이는 아마도 고린도후서 7장 9–10절을 암시하는 표현일 것이다. 거기서 바울은 고린도인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나는 기뻐한다. 왜냐하면 너희가 슬퍼하게 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너희가 회개에 이르게 하는 슬픔을 겪었기 때문이다. 너희가 겪은 슬픔은 하나님의 뜻에 따른 슬픔이었으므로, 너희는 우리에게 아무 해도 입지 않았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뜻에 따른 슬픔은 후회할 필요 없는 구원에 이르는 회개를 낳고, 세상의 슬픔은 죽음을 낳기 때문이다.” ✨ 신학적 해설: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슬픔(근심)”이란 무엇인가? 이 표현은 .. 2025.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