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소개117

⟪불안의 개념⟫과 관련된 강화 소개 1844년 8월 31일에 출판된 네 편의 강화, 즉 《Fire opbyggelige Taler》는 키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과 밀접한 실존적·신학적 연관성을 갖고 있습니다. 다음은 각 강화의 요지와 ≪불안의 개념≫과의 연관성을 정리한 것입니다: 1. 〈At trænge til Gud〉 (하나님을 필요로 한다는 것)내용 요약: 인간은 절망과 무능력 속에서 하나님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존재’로 드러난다. 참된 기도는 인간의 결핍에서 비롯되며, 하나님과의 관계는 자발적 요구가 아닌 ‘절박한 필요’로부터 형성된다 .≪불안의 개념≫과의 관련성: 이 강화는 인간이 본질적으로 하나님을 필요로 한다는 전제를 불안의 구조 속에서 해석하는 시도와 상응합니다. 키르케고르에 따르면, 불안은 자기가 하나님의 앞에 서 있.. 2025. 7. 9.
기독교의 훈련 3부 5장 해설 “med Christi Opfart til Høiheden begynder Parenthesens Indhold, og med hans Gjenkomst sluttes den”(“그리스도의 높으신 곳으로의 승천과 함께 괄호의 내용이 시작되며, 그분의 재림과 함께 그것은 닫힌다.”) 이 표현이 사도행전 1장 9–11절의 그리스도 승천과 재림 약속 장면을 직접적으로 참조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주석 번역 (경어체) “그리스도의 높으신 곳으로의 승천과 함께 괄호의 내용이 시작되며, 그분의 재림과 함께 그것은 닫힌다”는 진술은 사도행전 1장 9절부터 11절에 나오는 그리스도의 승천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그 장면에서, 제자들이 하늘을 바라보며 예수께서 올라가시는 것을 보고 있을 때, 흰 옷 입은 두.. 2025. 7. 2.
기독교의 훈련 3부 제5장 해설, 재림 교리 이 주석은 키르케고르가 본문에서 언급한 “Læren om hans Gjenkomst”(그의 재림 교리)이 단순한 신화적 도상이나 윤리적 상징이 아니라, 기독교 교리의 핵심적인 종말론 구조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명확히 밝혀줍니다. 다음과 같이 정리해드릴 수 있습니다. 🔹 용어 해설: Læren om hans Gjenkomst (그의 재림 교리) 이 표현은 전통적인 기독교 종말론의 교의, 곧 그리스도의 재림을 가리킨다.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다시 오실 것이다.이 재림의 순간에 화해(속죄)의 역사적 완성이 일어나며,죽은 자들이 부활하고,그리스도께서 온 세상을 심판하신다.이는 특히 마태복음 25장 31–46절(양과 염소의 심판 비유), 요한복음 5장 28–30절(무덤 속에 있는 .. 2025. 7. 2.
서랍장의 발견과 실존의 편집자 서랍장의 발견과 실존의 편집자 ―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형식과 진리의 구조에 관하여 1. 서론: 편집된 실존, 발견된 진리 쇠렌 키르케고르의 ≪이것이냐 저것이냐≫는 단순한 철학적 논고가 아니다. 이 작품은 외형적으로는 두 인물의 글을 한 편집자가 묶어 낸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내면적으로는 하나의 실존 주체가 겪는 실존의 분열과 형성, 그리고 진리의 계시적 발견 구조를 섬세하게 구현하고 있다.특히 서문에서 등장하는 서랍장(secretair)과 그 안에서 우연히 발견된 문서들은, 키르케고르가 ≪철학의 부스러기≫에서 전개한 진리의 우연성과 계시성이라는 주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2. 편집자로서의 빅터 에레미타: 실존의 중간자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표면적 저자는 ‘빅터 에레미타(Victor Ere.. 2025. 7. 2.
진리의 우연성과 계시성에 대하여 이것이냐 저것이냐 서문 해설, 서랍장 이야기 해설 1. 🗝 서랍장 이야기의 구조 요약 서랍장 = 감춰진 진리의 은닉소우연히 사게 되었고, 우연히 발견되며, 의도하지 않았을 때 갑작스레 열린다억지로 열려 하지 않을 때 오히려 숨겨진 문이 ‘저절로’ 열린다그 안에는 실존적 삶을 기록한 두 인물의 원고가 들어 있다발견자(빅터 에레미타)는 이를 “우연한 발견”, “운이 따른 계시”로 서술한다 이 모든 것은 ≪철학의 부스러기≫에서 기독교 진리의 본질을 설명하는 구조와 정확히 맞물린다. 2. 📘 『철학의 부스러기』에서의 핵심 주장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는 ≪철학의 부스러기≫에서 묻는다. “진리는 탐구를 통해 찾아지는 것인가? 아니면 주어지는 것인가(Aabenbares)?” 그리고 그는 철학의 방식—즉, 진리를 항.. 2025. 7. 2.
서랍장의 의미, 이것이냐 저것이냐 서문 🗝️ 1. 서랍장 이야기의 구조: 내러티브가 아닌 상징이 서문은 ‘무언가를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로 시작되지만, 그것은 단순한 에피소드가 아니라, 키르케고르가 독자를 실존적 질문으로 이끌어들이는 입구다.즉, 서랍장은 단지 가구가 아니라, 감춰진 내면, 은폐된 진리, 실존의 자료를 상징한다. 🧩 2. ‘우연’과 ‘내면성’ — 실존의 인식은 논리적 귀결이 아니라 돌연한 사건이다 빅터 에레미타는 말한다. “그 인상을 설명하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도 삶에서 비슷한 경험을 해봤을 것이다.” → 그는 자신이 왜 끌리는지도 모른 채, 그 서랍장에 의해 붙들린다. 이건 키르케고르 실존철학에서 핵심적인 사건 구조다. 진리는 인식되기보다는 우연 속에서 갑작스럽게 주어진다. 그것은 개념적.. 2025.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