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과 인문학63

성경에 나오는 사탄을 어떻게 볼 것인가? 키르케고르의 사유에서 보면, 성경 속 사탄(Satan)을 단순히 초자연적인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유를 상실한 실존적 상태”의 상징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즉, 사탄은 하나의 “독립적 실체”라기보다는, 불자유(Ufrihed)와 절망(Fortvivlelse)이 극단적으로 구현된 존재로 해석될 수 있다. 1. 키르케고르의 "악마적인 것(Det Dæmoniske)"과 사탄키르케고르가 말하는 “악마적인 것(Det Dæmoniske)”은 자신을 완전히 폐쇄(Indesluttethed)하고, 자유를 거부하며, 선(Gode)에 대한 불안을 가지는 상태이다.💡 그렇다면, 성경 속 사탄도 이 개념과 연결될 수 있을까?✔ 성경 속 사탄 역시 하나님과의 관계를 단절하며, 자신을 폐쇄하고, 절망 속에.. 2025. 3. 18.
자유와 부자유의 관계 키르케고르가 여기서 말하려는 핵심은 “부자유(Ufrihed)가 단순한 수동적 상태가 아니라, 자유(Frihed)와 깊이 연결된 능동적 현상(Phænomen)이라는 점”이다. 즉, 부자유는 자연적 필연성(Naturkategorier)으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유의 한 형태로 나타나는 실존적 상태이다. 이 점을 놓치면, 키르케고르의 논리를 오해할 수 있다.1. 부자유(Ufrihed)는 자유(Frihed)의 현상이다.보통 우리는 부자유를 자유의 부재(absence of freedom)로 이해하려 한다. 그러나 키르케고르는 부자유가 단순한 결핍 상태가 아니라, 자유 안에서 발생하는 실존적 현상(Phænomen)이라고 주장한다. 즉, 부자유는 자유가 부정된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자유의 왜곡된 .. 2025. 3. 18.
악과 죄의 근본적 관계는? 불안의 개념 4장 키르케고르의 논리 속에서 “악(Onde)“과 “죄(Synd)“의 차이를 이해하는 중요한 관점은 “자각(의식, Bevidsthed)“의 여부에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악(Det Onde)과 죄(Synd)의 근본적인 차이 • 악(Det Onde)• 불자유(Ufrihed)의 상태이지만, 스스로를 폐쇄된 존재로 정립하려는 상태(hypostasere sig)• 선(Gode)에 대한 불안을 가짐(Angest for det Gode)• 아직 자기 자신을 완전히 인식하지 못한 상태 → 즉, 자신의 상태가 죄인지 아닌지를 인식하지 못함• 따라서 악은 ‘죄가 자각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음 • 죄(Synd)• 마찬가지로 불자유(Ufrihed)이지만, 방향성이 다름• 악(Onde)에 대한 불안을 가짐(.. 2025. 3. 18.
불안의 개념 4장 아이러니 해설 ◄ Ironie … Eftersnakkerne … verdenshistoriske Oversigt … om Begreberne :이는 H.L. 마르텐센(H.L. Martensen)의 논문 『파우스트 개념에 대한 성찰: 레나우의 파우스트를 중심으로(Betragtninger over Ideen af Faust. Med Hensyn paa Lenaus Faust)』(『Perseus』 1호, p. 90-164)에서 아이러니와 세계사적 개관(verdenshistoriske Oversigt)에 대한 논의를 가리킨다.1. 마르텐센의 논점: 아이러니와 파우스트마르텐센은 “묵시록적이고 절대적인 시(poesis)의 발전 과정”을 설명하면서, 이것이 “세계사적 시대(verdenshistoriske Epoker)에 의해 형성.. 2025. 3. 17.
헤겔과 아이러니, 불안의 개념 4장 영역본 134쪽 참고.키르케고르는 여기서 아이러니(Ironie)를 “부정적인 것(Det Negative)“으로 해석한 이론이 헤겔(Hegel)에게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잘못된 참고(misvisende)이다. 실제로, 이 개념은 헤겔 자신의 이론이 아니라, 그가 K.F. 졸거(K.F. Solger)의 아이러니 개념을 요약하면서 전달한 것이다.1. 졸거(Solger)의 아이러니 이론 • K.F. 졸거(Karl Friedrich Solger, 1780-1819)는 아이러니를 “부정적인 것(Det Negative)“과 연결하여 설명한 철학자였다. 그의 사후 출판된 저작집 『Solger’s nachgelassene Schriften und Briefwechsel』(1828)에서, 그는 아이러니를 “파괴.. 2025. 3. 17.
불안의 개념 "계시" 번역어 문제 “Aabenbarelse”를 “disclosure”로 번역하는 것은 부적절할 가능성이 높습니다.왜냐하면 "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숨겨진 정보나 비밀을 공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법적, 정치적, 일반적인 맥락에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반면, "revelation"은 신학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으며, 특히 하나님이 인간에게 자신을 나타내는 행위를 의미하는 기독교적 개념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1. "Aabenbarelse"의 덴마크어 의미덴마크어 Aabenbarelse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신적 계시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이 인간에게 자신을 드러내는 것)숨겨진 것의 드러남 (더 넓은 의미에서 "드러남"이나 "밝혀짐"을 뜻할 수도 있음) 2. "disclosure"와 "revelat.. 2025.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