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안의 개념8

헤겔의 논리학과 키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 3장 정리 영역본 241쪽 각주 1) 더 작은 논리학(the lesser logic)학은 헤겔이 이행의 범주를 다루고 있는 몇 군데 중에 하나이다. 개념의 전진하는 운동은 이행도, 다른 무언가의 반성도 아니다. "다른 무언가로의 이행은 존재 범위 안에서의 변증법적인 과정이다. 즉, 본질의 범위 안에서의 반성(다른 무언가가 분명히 밝혀짐)이다. 이 개념의 운동이 발전(developement)이다. 이 발전에 의해서 이미 암묵적으로 현존해 있던 것이 명확해진다." (Encyclopadie, Part One, Die Logik, ∮161 and Zusatz, Werke, VI, PP. 317-18; J. A., VIII, p. 355; Hegel's Logic, pp. 224-5) 키르케고르는 헤겔의 논리학이 이행을 설.. 2021. 12. 23.
질적 도약이란? 불안의 개념 역사적 소개 보기 불안의 개념 소개 원죄는 정말 아담의 죄일까? 전통신학의 문제 원죄의 사회학적 문제 질적 도약의 의미 하프니엔시스에게 최초의 죄는 질적으로 다른 죄다. 최초의 죄는 질적 결정성(en kvalitativ(Qualitetens) bestemmelse, the nature of quality)을 이룬다. 이것이 최초의 죄의 비밀이다(Denne er det Førstes Hemmelighed). 이것은 추상적인 상식(abstract common sense)에게는 실족(offense, Forargelse)이다. 새로운 질은 최초의 것, 비약(leap), 수수께끼의 돌발로 나타난다. 헤겔 역시 “도약(leap)”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에게서 도약이란 양(quantity)에서 질(q.. 2020. 10. 29.
원죄에 대한 사회학적 문제/불안의 개념 불안의 개념 역사적 소개 보기 불안의 개념 소개 원죄는 정말 아담의 죄일까? 전통신학의 문제 원죄의 사회학적 문제 “개인은 그 자신이며 동시에 인류이다.”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 이 말은 원죄에 대한 사회학적 측면의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키르케고르와 비슷한 시기에 서구 사상의 핵심적인 측면은 “사회는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물음에 대답하는 것이었다. 대표적인 사상가로, 헤겔, 루소, 마르크스가 있다. 세 사람의 공통점이 있다면, 사회 문제를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제공한 사상가들이다. 키르케고르가 비판했던 대표적인 사상가는 헤겔(1770~1831년)이었다. 헤겔의 관심은 언제나 사회에서의 개별과 보편의 문제였다. 헤겔의 변증법을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개별과 보편의 운동이고, 개별과 보편의 통일.. 2020. 10. 12.
전통 신학의 문제 불안의 개념 역사적 소개 보기 불안의 개념 소개 원죄는 정말 아담의 죄일까? 전통신학의 문제 원죄의 사회학적 문제 하프니엔시스는 원죄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이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입증하기 위해 몇 개의 라틴어 인용으로 되어 있는 신조들을 제시한다. 그는 먼저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 가톨릭 신학에서 주장하는 바를 인용한다. 가톨릭 신학은 변증법적-환상적 전제(dialectic-fantastic presupposition)를 제시했다는 것이다. 아담의 타락의 결과로 인해 하나님께 부여받은 초자연적이고 놀라운 선물(donum divinitus datum suprana turale et admirabile)을 상실했다는 전제다. 반면 계약신학(federal theology)은 역사적-환상적 전제(historica.. 2020. 10. 7.
01 불안의 개념 소개 불안의 개념 역사적 소개 보기 불안의 개념 소개 원죄는 정말 아담의 죄일까? 전통신학의 문제 원죄의 사회학적 문제 키르케고르의 책 중에서 가장 어려운 책을 꼽으라면 나는 「불안의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불안의 개념」 서문과 1장은 가장 어렵다. 신학적인 배경 및 역사적 이해가 부족하다면 독해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헤겔 철학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헤겔의 논리학에 대한 비판이 있고, 전통적인 기독교의 원죄 개념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런 점들을 확인하고 직접 찾아보고 독해하지 않는다면, 「불안의 개념」의 저자인 비길리우스 하프니엔시스가 말하고자 하는 바에 도달하기 어렵다. 비길리우스 하프니엔시스(Vigilius Haufniensis)라는 가명의 의미는 “코.. 2020. 10. 2.
불안의 개념 역사적 해설 2 불안의 개념 소개 역사적 해설 1 역사적 해설 2 불안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깊은 관심이 나타난 첫 번째 출판물은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모차르트의 돈 조반니를 다룰 때 나타난다. 여기에서 이 개념은 심미적인 것(sensuousness)과 관련하여 분석된다. 키르케고르는 돈 조반니의 불안이 실체적이거나 전형적인 종류의 불안(substantial or prototypical kind)이라는 것이다.[#보기 Either/Or, I, KW III (SV I 107-08).] 반면 안티고네의 불안은 비극적이다.[#보기 Either/Or, I, KW III (SV I 131-32).] 그리고 네로의 불안은 사이코패스적(psychopathic)이다.[#보기 Either/Or, I, KW IV (SV II 168-69.. 2020.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