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어 정리14 Felix Culpa Felix Culpa(펠릭스 컬파)는 "행복한" 혹은 "복된"을 의미하는 'Felix'와 "잘못" 혹은 "타락"을 의미하는 'Culpa'에서 나온 라틴어 구절이다. 따라서 이 구절은 "행복한 잘못" 혹은 "행복한 타락"으로 옮길 수 있다. 종교철학적 측면 신학적 개념으로, 펠릭스 컬파는 타락을 긍적적 결과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인류의 구원과 같은 것이다. 이 개념은 본질적으로 역설적이다. 왜냐하면 불행한 사건에 대한 행복한 결말을 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는 불행한 사건 없이는 불가능하다. 종교철학적인 면에서, 펠릭스 컬파는 악의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 신정론의 범주에서 논의될 수 있다. 타락에 대한 해석으로, 이 개넘은 타락에 대한 부정적인 .. 2022. 3. 5. Pap. X1 A 517(키르케고르 일지에서) [여백 : 안티 클리마쿠스에 대하여] 요하네스 클리마쿠스와 안티 클리마쿠스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지만, 다른 점은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는 자신이 기독교인이 아니라고 말할 정도로 자신을 낮게 평가하지만 안티 클리마쿠스에서 자신을 이례적으로 높은 수준의 기독교인으로 간주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예: X1 A 530, 536] 또한 때때로 기독교는 비지성적인 의미에서 세계를 사용할 때 천재들만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믿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그의 개인적 죄책은, 자신을 이상과 혼동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에게 악마적인 것이다.) 그러나 그의 이상에 대한 묘사는 절대적으로 타당할 수 있고, 나는 그 이상에 예의를 표한다. 나는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보다 높고, 안티 클리마쿠스보다 낮은 위치에 선다. 2021. 11. 7. 일치 신조 일치신조 Formula of Concord The Solid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The Defense of the Augsburg Confession 일치 신조 는 1577년에 작성된 루터교의 신앙고백서이다. 원어는 독일어로 쓰여졌으며 라틴어 번역은 1584년에 일치서로 준비되었다. 이 신앙고백서의 선포와 수용은 루터교의 통일과 보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다. 이 부분은 [불안의 개념] 영역본 27쪽 "하나님이 형상의 부재", "시조의 의의 상실"에 대한 일치 신조의 1차 자료이다. Formula of Concord, Part II: Solid Declaration, I, 10 2. Secondly, that it is an entire want or lac.. 2020. 8. 10. vice of origin Vice of Origin 라틴어: vitium originis "시조의 악(vice of origin)"이라는 용어는 영혼에 대하여(De Anima, 41)에서 터툴리안이 사용했다. 이 명칭은 그의 시대 이후에 사용되었다. 타락(peccatum originale originans)과 타락의 결과로 파생된 유전죄(hereditary sin)[peccatum originale originatum (derivatum)]은 구별되는 것이었다. 유전죄는 단축된 형태로는 원죄(original sin, peccatum originale)이라 불린다. Hetterus redivivus, ∮84, 1. 또한 다음을 참고하라. Schleiermacher, The Christian Faith, 71. 2020. 8. 10. Ge-Stell(몰아세움) 하이데거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백과사전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후기의 하이데거가 존재사 내지 존재의 역사적 운명(Seinsgeschick, 존재의 역운)의 관점에서 현대 기술의 본질로서 끄집어 낸 존재론적 의미 지평의 구조 전체를 가리키는 개념. 닦달과 같은 번역어도 존재한다. 몰아세움은 존재자가 존재자로서 만나지고 이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현대 특유의 역사적 운명적으로 규정된 지평, 다시 말하면 현대에 고유한 존재의 탈은폐(Entbergen)의 방식 혹은 비은폐성의 성격을 의미한다. 현대의 기술적 세계에서는 인간도 포함하여 일체의 존재자를 유용성 내지 주문 가능성(Bestellbarkeit, 유용 가능성)의 관점으로부터만 바라보는바, 쓸모 있는 것만이 존재자로 간주된다. 즉 존재자는 유용성에 의.. 2020. 6. 15. 투명성(Transparency, Gjennemsigtighed) 투명성이란 개념은 에서 구체화된다. 이 말은 가명의 저자 안티 클리마쿠스에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다. 절망이 완전히 제거될 때, 자기self의 상태를 나타내는 공식은 이렇다: 자신과 자신을 관계하면서 자기이려 할 때, 자기는 자기를 정립하는 힘에서 투명하게 gjennemsigtigt안식한다.1) 이와 같은 표현은 책에서 여러 번 반복된다.2) 투명성에 대한 해석은 이 책의 2부에서 더 명확해지는 것처럼 보인다. 무엇보다 투명성은 하나님과의 관계다. 이런 점에서 죄에 대한 개념도 재정립된다. 안티 클리마쿠스에 의하면, 엄밀한 의미에서 이방인은 죄를 지을 수 없다. 왜냐하면 "하나님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3)그래서 2부의 시작을 죄란 하나님 앞에서 존재하거나 하나님 개념과 함께 있다고 말한 이유다. 어쩌.. 2020. 2. 2.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