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53

마음의 청결, 고백의 때에 대하여 ◄ Skriftemaal (고해):≪교회 예식서(Kirke-Ritualet)≫(121,2)에 따르면, 제4장 제1항에서 고해에 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성찬성사의 거룩한 사용을 원하는 자는, 전날 또는 정당한 사유로 전날이 어려운 경우에는예배 설교 이전에, 고해석(告解席, Skriftestolen)에 나아가 목사 앞에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사죄를 구해야 한다.”(p. 143) 이로써 고해는 성찬에 참여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규정되었다. 비록 그 후 여러 왕령 및 칙령을 통해 예전의 형식적 변경들이 도입되었고, 관행이나 자의적 실천을 통해 많은 새로운 예식적 변형들이 생겨났지만, 키르케고르의 시대에는 여전히 이 교회 예식서의 규정이 유효했다.고해는 고해석(Skriftestolen)에서 이루어.. 2025. 5. 14.
마음의 청결 관련 일기 소개(NB:129, Pap. VIII1 A 15) 다음은 키르케고르의 저널 VIII1A15에서 발췌된 ≪다양한 정신의 건덕적 강화(Opbyggelige Taler i forskjellig Aand)≫의 세 부 구성에 대한 설명 부분의 한국어 번역입니다. 원문의 어휘와 문체를 최대한 존중하면서도 독해 가능하도록 현대적이고 명확한 문장으로 옮겼습니다. ≪다양한 정신의 건덕적 강화≫의 세 부분 사이의 관계 1) 제1부기본 구상은 본질적으로 윤리적-아이러니적이며, 그로부터 건덕적인(opbyggelig), 소크라테스적인 색조가 형성된다. 가장 아이러니한 범주이면서 동시에 절대적으로 도덕적인 범주는 바로 ‘단독자(hiin Enkelte)’이다. ‘단독자’는 실제로는 누구든지를 의미할 수 있으며, 특히 윤리적으로 이상을 실현하려는 자라면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이.. 2025. 5. 14.
Tilværelse(존재)와 System(체계) 🧩 Tilværelse(존재)와 System(체계)의 대립 구조(키르케고르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를 중심으로) 1. Tilværelse (존재, 실존)정의:이는 개념적으로 포착될 수 없고, 오직 내면성과 시간 속의 긴장에서 형성됨.‘Tilværelse’는 키르케고르에게 단순한 ontologisk ‘존재’가 아니라, 살아 있고 고통하며 결단하는 실존하는 삶을 의미함.특징:불완결적이며 실존적순간 속에서 진리를 형성개별자의 고유한 내면에서 살아 있음‘내가 존재하는 방식’으로서의 진리진리는 내면성이다(Sandheden er Inderligheden) 2. System (체계, 특히 헤겔적 체계)정의:모든 것을 보편적 이성 속에서 매끄럽게 해명하려 함.철학이 현실과 존재를 논리적 전체의 일관된 구조로 환원.. 2025. 5. 14.
절망의 가능성에 대한 부정과 제자도 키르케고르의 “절망의 가능성을 날마다 부정해야 한다”는 사고는 복음서에서 예수께서 말씀하신 “자기 부인”의 요구와 깊이 맞닿아 있습니다. 특히 다음 구절과 밀접하게 연결됩니다: “아무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눅 9:23) 🧩 연결 구조:키르케고르의 실존적 자기 형성과 복음서의 자기 부인복음서의 가르침키르케고르의 개념“자기를 부인하고…”절망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부정해야 함“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매 순간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한 고통의 수용“나를 따를 것이니라.”하나님 앞에서 자기 자신을 이루는 실존의 길진정한 제자도는 자기 부인에 있음진정한 자기(Self)는 하나님 앞에서만 가능함 🔍 왜 이것이 중요한가?키르케고르는 다음과 같은 기.. 2025. 5. 12.
키르케고르의 실존적 종말론, 죽음에 이르는 병 서론 신학적으로 말하자면, 서론은 키르케고르의 실존적 종말론을 담고 있다. “죽음은 끝이 아니다. 절망만이 진정한 죽음이며, 오직 하나님 안에서만 참된 희망이 있다.” 아래는 왜 이 부분이 실존적 종말론으로 해석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조적 설명입니다: 🕯 키르케고르의 실존적 종말론: “죽음에 이르는 병”의 문맥에서 1. 전통적 종말론 vs 실존적 종말론구분전통적 종말론 (객관적, 시간적)키르케고르의 실존적 종말론 (주관적, 존재적)기준역사적 시간의 종말 (죽음, 심판, 종말 사건)개인 내면에서 ‘자기’가 하나님 앞에서 무너지는 사건중심사후의 세계 / 종말의 시간지금 이 순간, 자기 자신과의 진실한 관계위기외적 재난, 죽음의 공포자기 기만과 절망, 하나님 없는 자기됨의 시도해석죽음은 끝죽음은 전환의 지점,.. 2025. 5. 12.
죽음에 이르는 병 관련 일기 소개(NB4:161) 죽음에 이르는 병 관련 일기 소개(NB4:161)NB4:161, Pap. VIII1A653“하지만 여기에서는 결국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는 제목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이 제목은 매우 수사적(rhetorisk)이기 때문이다.” 죄에 대한 교의는 아마도 다음과 같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1) 야고보서의 그 구절:“하나님은 아무도 유혹하지 않으시며, 각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자기(self)에게) 끌려 유혹을 받는다.” 2) 로마서 7장:육신과 피, 육신 안에 있는 또 다른 법(율법) 3) 에베소서 (1843):“우리는 육신과 피에 대항하여 싸우는 것이 아니라, 통치자들과 권세들과 싸우는 것이다.” → 여기서 자기중심성(selviskheden, 이기심)은“자기 자신이 되기를 원하지 않는 절망” 혹.. 2025.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