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 번째 시기의 작품

01 불안의 개념 소개

by 엉클창 2020. 10. 2.

 

  1. 불안의 개념 역사적 소개 보기 
  2. 불안의 개념 소개
  3.  원죄는 정말 아담의 죄일까?
  4. 전통신학의 문제
  5. 원죄의 사회학적 문제

 


키르케고르의 책 중에서 가장 어려운 책을 꼽으라면 나는 「불안의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불안의 개념」 서문과 1장은 가장 어렵다. 신학적인 배경 및 역사적 이해가 부족하다면 독해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헤겔 철학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헤겔의 논리학에 대한 비판이 있고, 전통적인 기독교의 원죄 개념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런 점들을 확인하고 직접 찾아보고 독해하지 않는다면, 「불안의 개념」의 저자인 비길리우스 하프니엔시스가 말하고자 하는 바에 도달하기 어렵다. 

비길리우스 하프니엔시스(Vigilius Haufniensis)라는 가명의 의미는 “코펜하겐의 방심하지 않는 경비원” 정도의 의미가 있다. 도대체 어떤 목적으로 키르케고르는 가명의 저자의 이름을 “방심하지 않는 경비원”으로 이름을 정했을까? 그 이유는 「불안의 개념」의 내용에서 어느 정도 힌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재판관도 불안처럼 무서운 고문을 준비하지 못한다. 어떤 형사도 불안만큼 교활하게 용의자의 가장 약한 순간에 공격하는 법을 알지 못한다. 혹은 어떤 형사도 불안만큼 용의자가 올무에 빠지도록 유혹하지 못한다. 아무리 명민한 판사라도, 불안만큼 피고를 심문하거나 조사하는 법을 이해할 수 없다. 불안은 절대 피고를 놓치지 않는다. 오락할 때나, 소란스러울 때나, 일할 때나, 밤이나 낮이나.

하프니엔시스의 역할은 이런 불안이 하는 역할과 같다. 그는 어쩌면 인간의 내면의 경비원이다. 정신적이고 영적인 인간의 내면의 상태를 관찰하고 이에 대하여 진단하는 자이다. 따라서 그는 교리적이고 심리학적인 이중의 작업을 수행하는 자이다. 

다른 측면에서 그는 “분별”을 수행하는 자이다. 이 작품의 인용구를 보면, “분별의 시대는 지나갔다. 체계가 그런 시대를 극복했다.”라고 말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체계란 당연히 헤겔 철학을 의미한다. 하프니엔시스는 서문에서부터 헤겔의 논리학을 비판한다. 비판의 핵심적인 내용은 “분별”을 수행하지 않았다는 점에 있다. 

논리학은 일종의 “필연”의 범주이다. 하지만 현실성은 “우연”의 범주라는 것이다. 그런데 헤겔의 논리학은 우연의 범주에서 다루어야 할 현실성의 개념을 필연의 범주인 논리학에 다룬다는 것이다. 이렇게 범주를 “분별”하지 않고 다루는 것은 학문하는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큰 혼란을 가져온다. 바로 이런 혼란을 야기시킨 자가 헤겔이다. 

따라서 서문에서는 명확한 학문의 경계를 세우려 한다.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학문은 심리학, 윤리학, 교의학이다. 죄의 문제에 관한 한, 각각의 학문적인 영역에서 다룰 수 있는 요소들이 있다. 하지만 각각의 학문의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혼합하면 혼란만 가중시킬 뿐이다. 따라서 하프니엔시스가 시도하려 하는 바는 이 경계를 분명히 하고 이 범주를 “분별”하는 일이다. 

무엇보다 “죄”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 하프니엔시스가 강조하는 것은 “기분(mood)”이다. 이 죄의 개념에 상응하는 기분은 “진지함”이다. 다시 말해, 죄의 문제에 대해 진지해지지 않는 누구나 죄의 개념에 도달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죄에 대해 심리학이나 윤리학이 다루고자 할진대, 이런 학문적인 영역에서 죄의 문제는 명확하게 다루어질 수 없다. 왜냐하면 윤리학이나 심리학은 이런 진지함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죄를 심리학에서 다루면 기분은 “끊임없는 관찰”의 기분이 된다. 하지만 이런 기분은 사람이 진지하게 죄에 직면했을 때의 기분이 아니다. 그때 죄란 단지 학문 혹은 관찰의 대상으로서의 제 3자 입장에서의 기분일 뿐이다. 

하프니엔시스는 죄가 본질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학문적인 영역이 있다면, 그것은 교의학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비트켄슈타인의 “언어 놀이”를 연상시킨다. 예를 들어, 공기놀이를 하면서 아이들은 “고추장”이라는 단어를 쓴다. 하지만 공기놀이에서의 고추장이 의미하는 바는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다. 또한 고추장이라는 용어를 이 놀이 밖에서는 언제나 다른 의미로만 작용한다. 공기놀이에서의 고추장의 의미는 이 놀이의 “장”에서만 의미가 나타난다. 마치 이처럼 “죄”라는 개념 역시 교의학에서만 그 개념적인 정의가 가능한 것이지 다른 학문적인 영역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다시 말해, 기독교적인 죄의 개념은 속죄, 대속, 형벌 등과 같은 교의학의 개념적인 단어들과 함께 정의될 때에만 올바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하프니엔시스가 수행하려는 작업이 “분별”이다. 

다시 인용구로 돌아가 보자. 하프니엔시스는 소크라테스와 하만을 소환한다. 왜냐하면 이 사람들은 “자신이 이해한 것과 이해하지 못한 것을 분별했기” 때문이다. 분별이 중요한 이유는 다시 이 책의 부제로 연결된다. 이 작품의 부제는 “유전죄라는 교의학적 문제에 관한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단순한 연구(고찰, deliberation)”라는 제목이 달려 있다. 하프니엔시스는 이미 부제에서 교의학과 심리학을 분별하고 있고, 교의학의 문제를 심리학적으로 다루겠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단순한 연구”이다. 다시 말해, 이 연구는 사변적이지 않다. 또한 교의학적인 주제이다. 다시 말해, 형이상학적인 주제가 아니다. 또한 현실적인 죄의 문제를 다루려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일종의 죄의 가능성의 문제를 다루려는 것이다. 무엇보다 심리학적으로 그 가능성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 부분을 명확히 하자. 참고로 이에 대한 성서적 배경은 구약성경의 창세기 3장이다. 

youtu.be/YXcXpoNPzC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