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 번째 시기의 작품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업데이트 중...)

by 엉클창 2020. 4. 30.
  • 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to Philosophical Fragments: A Mimical-Pathetical-Dialectical Compilation, An Existential Contribution
  • Afsluttende uvidenskabelig Efterskrift til de philosophiske Smuler. Mimisk-pathetisk-dialektisk Sammenskrift, Existentielt Indlæg
  • Johannes Climacus, ed. S. Kierkegaard
  • 1846
  • KW12 (2 vols.), SKS7, SV7

두 번째 시기: 간접 전달(1843-46년)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는 <철학의 부스러기>와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의 저자다. 뿐만 아니라  <사후 요하네스 클리마쿠스 또는 De Omnibus Dubitandum Est>의 저자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는 키르케고르의 가장 위대한 철학 작품의 저자일 것이다. 클리마쿠스의 스타일은 세 작품마다 다르지만 변증법적 사명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키에르케고르는 시내산에 있는 알렉산드리아의 세인트캐서린스 수도원(Saint Catherine's of Alexandia)의 수도사(c. 570-649)에게서 이 이름을 따왔다. 그는 <클림맥스 투 플라디수( Klimax tou Paradeisou)>, 또는 <천국의 사다리>의 저자였다. 이 책은 우연히 스페인어로 번역된 신대륙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이다(멕시코, 1532년). 이 작품은 수도사와 같은 독자들을 위해 쓰여졌다. 그는 그 누구도 먼저 정욕에 맞서 싸우지 않고 억누르지 않고 사색적인 삶을 시도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따라서 사닥다리는 30개의 연속된 계단이 있었다. 이 계단은 결국 에피쿠로스 사람들의 아타락시아(쾌락)과 완전히 다른 것은 아니고, 어떤 태평함과 평정(impassibility and imperturbability)의 상태로 안내한다. 다만 에피쿠로스 사람들은 조용한 사색적 쾌락을 위해 세상의 고통을 피하려 하지만 클리마쿠스는 천상의 환상을 추구한다. 그리스도를 본받는 것이 서양에서 성경 밖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경건한 작품 중 하나인 것처럼, 사다리는 오래 전부터 동양에서도 동일하게 중요성이 있다. 이 책은 정교회 수도원에서 매 사순절마다 읽혀지며, 교회나 평원에서 소리내어 읽도록 했다. 

키르케고르에게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라는 가명은 비록 이 클리마쿠스가 신봉자는 아니지만 지식에 대한 주관적인 접근을 나타낸다. 사다리는 그때 하나님께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특히 데카르트와 헤겔로 대표되는 논리학자가 한 전제에서 다음 전제로 진행하여 올라가는 논리적인 상승을 염두에 두기 위한 것이다. 요하네스는 신념을 통해서가 아니면 어떤 식으로든 절대자에게 접근하는 것이 우스꽝스럽다고 생각하면서 영적인 문제에서 이 방법을 거부한다. 그는 주관적인 지식과 도약에 관심이 있다. 합리적 철학자들의 공언된 목표인 객관적 지식은 주관적 피조물에게는 적절할 수 없다. 더구나 키르케고르는 영혼이 하나님에게 눈을 돌리게 하는 지식에도 신경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요하네스는 아직 하나님에 대한 그 지식에는 도달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독교인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태평 (impassibility)을 향한 하나님께로의 엄격한 상승은 진리에 대한 열정적이고 주관적인 접근으로 대체되었다. 이로 인해 믿는 자는 모순의 도움으로 그리스도 앞에 있는 스스로를 깨닫는다.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는 양이 굉장히 많고 다루기 힘든 책이다. 최근 프린스턴판에서는 내용만 623페이지에 이른다. 이 책은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상당히 양이 많고 독특하다. 이것은 키르케고르 독자들에게는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독자들은 원래 그의 장황하고 놀라운 스타일을 기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그의 학위 논문인 <아이러니의 개념>으로 시작한다. <이것이냐 저것이냐>는 현재 한국 번역본에서는 두 권으로 출판되고 있으며 영역 본도 마찬가지이다. 이 책 역시 양이 굉장히 많다.  

"결론의"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철학의 부스러기>에서 먼저 제시된 내용의 결론을 언급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키르케고르의 저술 생애의 결론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후에 그는 이 시기를 전환점이라고 불렀다. 하워드 홍이 지적하듯이 이 작품은 전자의 5배 크기인 다른 작품의 후기라는 아이러니가 있다. "비학문적"이라는 용어 역시 설명이 필요하다. 과학은 일반적으로 학문을 말한다. 존재 자체와 관련해서는 하나님 외에는 스승이 있을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 작품은 체계적이지 않다. 키르케고르의 많은 작품에서 제목과 장 구분은 그의 독특한 변증법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