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과 인문학63

키르케고르와 무의식 키르케고르가 설명하는 폐쇄성(Indesluttethed)은 본질적으로 무의식(Det Ubevidste)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즉, 그는 악마적인 것(Det Dæmoniske) = 폐쇄성(Indesluttethed) = 무의식(Det Ubevidste) = 돌연한 것(Det Pludselige)이라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1. 폐쇄성(Indesluttethed)과 무의식의 본질키르케고르의 설명을 분석하면, 폐쇄성은 다음과 같은 무의식의 특성을 지닙니다. • 자기 자신을 폐쇄하는 구조• 무의식은 의식되지 않는 영역으로 존재하며, 외부(Communication)와 단절됨• 키르케고르가 말하는 “폐쇄성”도 동일하게 자기 자신을 소통으로부터 단절하고 있음. • 자기 내부에 감춰진 어떤 내용이 있음• 무의식.. 2025. 3. 17.
초월적 선(불안의 개념 4장 X와 선의 관계) 여기에서 “선(Gode)”은 단순한 도덕적 선이 아니라, 초월적 선(det transcendente Gode)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그 이유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선(Gode)“이 단순한 도덕적 개념이 아님키르케고르가 Begrebet Angest에서 말하는 “선(Gode)”은 일반적인 윤리적 선행이나 인간적인 도덕적 기준을 넘어섭니다. • 선이 X를 드러낸다(Aabenbarelse) → 여기서 “선”은 존재의 깊은 층위를 열어젖히는 힘• 악마적인 것(dæmoniske)은 선을 두려워한다 → 이는 단순히 윤리적 선악 개념이 아니라 존재론적·실존적 구도에서 설명됨• Aabenbarelse(계시)는 구원의 첫 표현 → 즉, 선(Gode)은 단순한 행위가 아니라 존재의 구원과 관련된 개념이러한 .. 2025. 3. 17.
조해리 창과 키르케고르의 X개념(불안의 개념 4장) 조해리 창(Johari Window)은 심리학에서 자기 인식과 대인관계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키르케고르의 X 개념과 비교하면 흥미로운 연결점이 있습니다.1. 조해리 창이란?조셉 루프트(Joseph Luft)와 해리 잉햄(Harry Ingham)이 개발한 “조해리 창(Johari Window)” 모델은 자기 인식(self-awareness)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정보의 흐름을 설명합니다. 이 모델은 4개의 영역으로 나뉩니다.조해리 창자신이 아는 부분자신이 모르는 부분열린 영역(Open Area)자신도 알고 있고, 타인도 아는 부분(공개적 성격, 행동, 감정 등)숨겨진 영역(Hidden Area)자신은 알지만, 타인은 모르는 부분(비밀, 감춰진 감정, 트라우마 등)맹목적 영역(Blind Spot)타인은 알지.. 2025. 3. 17.
키르케고르의 이 일기(NB:151, Pap. VIII1 A 39, 1847년)의 의도와 핵심 내용 NB:151, Pap. VIII1 A 39, 1847년, JP: 2716야이로의 딸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하는가?“이것은 기적이며,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다.”아니면“때때로 의학이 탁월한 방식으로 성공할 때가 있으며, 때때로 이와 같은 놀라운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즉, “야이로의 딸의 소생이 기적이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을 설명하기 위해 기적이 아닌 것에 호소해야 하는가?”아니, 그보다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과연 누구의 기쁨이 가장 아름답고, 하나님께 가장 기쁘게 받아들여지는가?기적을 통해 자신의 소원이 이루어진 사람(여기서는 야이로)인가?아니면, 조용한 아픔 속에서 거부된 소원의 고통을 견디면서도, 특별한 기쁨을 누린 사람과 함께 온유한 감동을 받고 기뻐하는 사람인가?과연 누구.. 2025. 3. 11.
키르케고르의 이 일기(NB:73, Pap. VII1 A186)의 핵심 내용과 해석 📌 키르케고르의 이 일기(NB:73, Pap. VII1 A186)의 핵심 내용과 해석이 일기에서 키르케고르는 현대 자연과학(특히 생리학)의 문제점과 신앙 및 윤리의 관계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그의 논지는 크게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1. 키르케고르의 과학 비판: “과학은 진리가 아니라 호기심이다.키르케고르는 현대 과학, 특히 자연과학이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호기심’(curiosity)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다고 해서 의식의 본질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과학이 기적을 ‘설명’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은, 오히려 코믹한 일이다.📌 주요 예시:“나는 의식이 어떻게 생겨나는지 육안으로 볼 수 없다.” → 이는 단순하고 적절한 진술이다.그러나 “현미경으.. 2025. 3. 11.
나폴레옹의 잠에 대하여 복음과 함께 고난을 받으라, 제5장의 아이의 능력에 나오는 나폴레옹의 능력에 대한 보충 설명입니다.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짧고 깊은 수면 능력으로 유명했습니다. 그는 바쁜 군사 캠페인과 정치적 활동 중에도 적은 시간 동안 빠르게 깊은 잠에 들고 충분한 에너지를 회복하는 능력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나폴레옹의 수면 습관 1. 짧은 수면 시간: • 나폴레옹은 일반적으로 하루에 3~4시간 정도만 잠을 잤다고 전해집니다. 그는 군사 작전 중에도 밤늦게까지 일하고 새벽에 일어나는 일이 많았습니다. • 필요할 경우 낮잠을 활용해 수면 부족을 보충했으며, 짧은 시간에도 깊이 잠드는 능력이 있었습니다. 2. 낮잠의 활용: • 그는 피곤함을 느낄 때 잠깐씩 낮잠을 자는 것으로 에너지를 회복했습니다. 말 위나 캠페.. 2024.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