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과 인문학63 책임의 순간 데리다와 키르케고르 데리다는 키르케고르의 세계 속에 있는 사람이다. 일찍이 에서 나타난 레비나스에 대한 글에서, 데리다는 레비나스의 비판에 대해 키르케고르를 옹호한다.[#1 Jacques Derrida, Writing and Difference, trans. Alan Bass(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p.110-11.] 에서 불가결정성(indecidability)의 심연 위로의 도약에 대한 그의 생각은 키르케고르의 것과 비교된다.[#2 Jacques Derrida, The Force of Law: The Mystical Foundation of Authority, trans. Mary Quaintance. In Drucilla Cornell et a.. 2020. 6. 9. 키르케고르의 아이러니와 유머 If the Lily Could Speak: On the Contentment and Glory of Being Human Sylvia Walsh 실존 영역에서의 클리마쿠스의 도식(schema)과 다양한 정신의 건덕적 강화의 계획 다양한 정신의 건덕적 강화의 세 부분은 서로 관계가 있다. 에서 도식화된 실존 영역에서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 책에서 가명의 저자 요하네스 클리마쿠스는 실존을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눈다. 심미적 실존, 윤리적 실존, 종교적 실존이다. 이런 구분에 어떤 경계를 추가한다. 아이러니irony와 유머humor다. 아이러니는 심미적 실존과 윤리적 실존을 구분하는 경계이고, 유머는 윤리적 실존과 종교적 실존을 구분하는 경계다.(CUP, 1:501-02) 이런 도식을 .. 2020. 2. 16. 정의란 무엇인가(원서 정리 1) 4. Hired Help/Markets and Morals In this chapter, We'll consider the morality of paying people to perform two very different kinds of work-fighting wars and bearing children. Thinking through the rights and wrongs of markets in these contested cases will help us clarify the differences among leading theories of justice. What’s Just-Drifting Soldiers or Hiring Them? Abraham Lincoln signed the Uni.. 2020. 2. 15. 이전 1 ··· 8 9 10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