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과 인문학52 죄책의 현상학 니체, 프로이트와 키르케고르 역자로서 에 대한 학문적인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린 것처럼 죄(sin)와 죄책(guilt)은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죄를 졌지만 마음으로 그 죄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죄책을 갖기는 어렵습니다. “양심의 가책”으로 생각해도 어느 정도는 맞는 말입니다. 하지만 키르케고르에게 “죄책”은 양심의 가책과도 다릅니다. 이 죄책은 오직 “하나님 앞에서” 느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나눌 주제는 "죄책," “기쁨”입니다. 키르케고르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사람이 항상 죄책으로 고난당하는 기쁨”이라는 강화의 제목에서 언급한 것처럼, 사람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언제나 죄책으로 고난당하나 여기에 기쁨이 있다는 겁니다. 이런 점에서는 니체와 프로이트를 언급하지 않을 .. 2020. 6. 30. 니체와 키르케고르 다음은 니체와 키르케고르에 대한 위키피디아의 짧은 설명이지만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의 위키피디아를 참고하라. "대부분의 연구자는 프리드리히 니체 (1844–1900)가 19세기 철학자 쇠렌 키르케고르 (1813–1855)를 조금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믿는다.[1][2] 덴마크의 철학자 게오르크 브란데스(Georg Brandes)가 1888년에 니체에게 키르케고르의 저서를 연구할 것이냐고 묻자, 니체는 그렇게 하겠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니체는 바로 다음해인 1889년부터 제 정신이 아니었고, 그 이전에 키르케고르 연구를 하지는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3] 그러나 최근 연구자는 니체가 이차 문헌을 통해 키르케고르의 저서를 "이미" 접했었다고 주장한다. 브란데스의 진술을 제쳐놓고.. 2020. 6. 29. 키르케고르와 틸리히 폴 틸리히는 많은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받았다. 그 중에서 대표적인 사람이 있다면, 셸링과 독일의 루터파 저술가인 마르틴 캘러다. Roman Kralik에 의하면, 무엇보다 틸리히는 그의 철학적 체계를 거의 셸링과 키르케고르에게 빚지고 있다. 틸리히는 셸링과 키르케고르를, 심지어 마르크스까지 연결시킨다. Kralik은 틸리히가 1905년에 Halle 대학에 있을 당시 키르케고르 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그에 의하면 틸리히는 키르케고르를 공부하면서 깊은 감명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철학적 통찰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밀한 부분까지 다룬 키르케고르의 경건을 감탄했다고 한다. 키르케고르는 마르크스와 더불어 헤겔 철학을 부정한 대표적인 사람이었다. 키르케고르에게서 물리적이고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정신과 실재의 관.. 2020. 6. 15. 키르케고르에 대한 오해: 불트만 1. 지난번에 키르케고르에 대한 오해로 칼 바르트를 소개한 바 있다. 이번 시간에는 불트만[#1 루돌프 불트만(Rudolf Karl Bultmann, 1884년 8월 20일-1976년 7월 30일)은 독일의 개신교(루터교) 신학자이다. 마르부르크 대학교의 신약학 교수로 30년 동안 재직했으며, 하이데거의 실존주의 방법을 사용하여 성서의 비신화화를 시도한 신학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이름을 따라서 불트만 학파라는 이름이 만들어졌다.]을 소개한다. 불트만은 키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았다. 무엇보다 하이데거와 키르케고르가 강조하고 있는 실존의 상황은 “불안”이다. 키르케고르에 의하면, 인간의 마음 깊숙한 곳에 내재하고 있고 결코 제거할 수 없는 것이 불.. 2020. 6. 15. 키르케고르에 대한 오해: 칼 바르트 칼 바르트의 생각 속에는 키르케고르가 녹아들어가 있다. 그냥 공부하는 과정 가운데 거쳐가는 단계가 아니라, 그의 사상은 키르케고르의 생각이다. 그의 말은 키르케고르의 “나팔(reveille)”이다. McCormack의 주장에 따르면, 칼 바르트는 로마서 주석을 쓰기 전에 “그리스도교의 훈련” “순간” 그 외에 키르케고르의 일기와 기록물들을 읽었다는 것이다. 칼 바르트는 아마도 1920년 봄에서 1921년 겨울까지 읽었던 것처럼 보인다. 나중에는 “비학문적 후서”를 읽었다고 한다. McCormack에 따르면, 칼 바르트의 「로마서」에 영향을 끼친 책이 있다면 “그리스도교의 훈련”이었다. 역설로서 그리스도, 동시대성의 문제, 무한한 질적 차이, 신적 “미행”으로서의 육화와 같은 개념들이 로마서 주석에 들어 .. 2020. 6. 15. 키르케고르에 대한 오해: 사신신학 이번 시간에는 “사신 신학”을 다룹니다. 대표적인 신학자가 있다면, 알타이저[#1 토마스 요나단 잭슨 알타이저(Thomas Jonathan Jackson AltizerAltizer, 1927년 9월 28일 - )는 사신신학자이다. 그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개념인 신의 죽음과 헤겔의 변증법적 철학 으로 자신의 조직신학을 세웠다.]와 테일러[#2 마크 C. 테일러 (Mark C. Taylor, 1945년 12월 13일 - )는 신학, 철학, 미술 및 건축, 미디어, 기술, 경제 및 자연 과학에 관한 20권 이상의 책을 출판 한 종교 철학자이자 문화 비평가이다. 대표적인 포스트모던 신학자이다. 1968년 웨슬리안 대학교 (Wesleyan University) 를 졸업 한 후 하버드 대학교 에서 종교학 박사 학위.. 2020. 6. 15. 이전 1 ···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