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섯 번째 시기의 작품

자기 시험을 위하여 소개

by 엉클창 2020. 3. 29.
  • For Self-Examination: Recommended to the Present Age
  • Til Selvprøvelse. Samtiden Anbefalet
  • 1851
  • KW21, SKS13, SV12

다섯 번째 시기: 직접 전달(1848-51년)

자기 시험을 위하여For Self-Examination

이 작품과 <스스로 판단하라!>는 매우 직접적이고 접근하기 쉬우며, 키르케고르의 이름으로 출판되었다. 그가 어떻게 철학적, 미적 문제에 덜 관심을 갖게 되었는지, 그리고 종교에 대한 더 특이한 의향을 알게 되었는지 알 수 있다. 게다가 이 책은 그가 하나님을 위해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도로 시작된다. 하지만, 그는 "권위 없는" 말을 한다고 한다. 그가 다른 곳에서 사용했던 이 표현은 그가 성서의 권위나 영감을 받은 자의 권위를 가지고 쓰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한다. 기독교 세계에 기독교를 재도입하기 위해 사실상 교회로 향했던 <그리스도교의 훈련>을 집필한 후, 그는 내면과 개인, 즉 하나님 앞에 있는 개인에 대한 주제로 되돌아간다. 서문에서 그는 이 작품들을 소리내어 읽으라고 권한다. 이 작품의 부제목인 "현 시대에 추천함"은 이전의 (혁명적) 시대와 대조되는 키르케고르의 자신의 시대관을 말한다(<두 시대>를 참고하라). 요컨대 현 시대는 반성적이지만 열정이 결여되어 있다.

<자기 시험을 위하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부분은 "말씀의 거울 속에 있는 자기 자신을 진정한 축복으로 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이고 두 번째 부분은 "그리스도는 길이다"이고 세 번째 부분은 "이것이 성령이다"이다. 

첫 번째 부분에서, 키르케고르는 독자들에게 오직 말씀 앞에 서기를 촉구한다. 이런 점에서 성서 읽기는 문제가 많다. 왜냐하면 말씀이 거울과 같다면, 성서의 말씀은 "내가" 읽는 것이 아니라, 말씀이 "나"를 읽기 때문이다. 말씀의 거울에 의해 "내"가 해석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성서를 학문적으로 읽거나 아예 관심이 없다. 이런 점에서 말씀을 읽는 과업은 실패로 돌아갔다는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 키르케고르는 "좁은 길"에 대하여 다룬다. 그리스도의 길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해하는 좁은 길이 아니다. 이 길은 인간이 갈 수 있는 길이 아니다. 이 길은 너무 좁아 인간의 이해로는 상상하기 힘들 만큼 좁은 길이다. 아마도 그는 덴마크의 교회가 가능한 한 좁은 길을 넓혔기 때문에 국교화된 기독교를 공격했던 것처럼 보인다. 이 길은 처음부터 좁았고 점점 더 좁아지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는 길이라는 것이다. 이 부분은 그리스도의 삶의 영역을 다룬다.

키르케고르는 "좁은 길"에 대한 주제를 <고난의 복음>에서도 등장시킨다. "좁은 길이 아니라 길이 좁다는 생각에 있는 기쁨"이 그것이다. 그는 그리스도를 본받음과 의심의 요소를 계속해서 다룬다. <자기 시험을 위하여>가 그리스도께서 가신 좁은 길을 다룬다면, <고난의 복음>은 제자가 가야 할 좁은 길이다.

세 번째 부분에서, 키르케고르는 성령을 주제로 다룬다. "생명을 주는 것은 성령"이다. 하지만 죽음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그는 생명을 주기 위한 성령이 먼저 요구하는 것이 "영적 죽음"이라는 것이다. 이때, 성령은 그냥 오시지 않는다. 세 가지 선물을 가져오신다. 첫 번째 선물이 믿음이고, 두 번째 선물은 소망, 세 번째 선물이 사랑이다. 하지만 이 세 가지 선물은 통상적으로 세상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따라서 세상에서 이 선물은 언제나 실족이다. 

이상 간략하게 책 내용을 언급하였는 바, 더 심층적인 연구를 원한다면 <스스로 판단하라>, <그리스도교의 훈련>, <죽음에 이르는 병>, <고난의 복음>, <사랑의 역사>를 읽으라. 

<자기 시험을 위하여와 <스스로 판단하라>는 1851년에 완성된 작품이지만, <스스로 판단하라>는 비판적인 내용으로 인해 출판을 미루다가 1876년에 유고집으로 출판되었다. 두 저서의 공통점이 있다면, 당시 “세속화된 루터교”를 비판하고 “진정한 기독교”를 변호했다는 점이다. 두 저서의 주제를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제자도 혹은 본받음이다. 1847년 이후 키에르케고어의 후기 작품은 기독교를 빼놓고는 설명할 수 없다. 그 정도로 그는 기독교를 변호했다.

이 두 저서는 반드시 함께 읽어야 한다. 관점이 같기 때문이고 그가 죽기 전에 기독교를 향한, 교회를 향한 최후의 뜨거운 열정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 두 저서와 관점을 같이 하고 있는 사상서는 <죽음에 이르는 병>과 <그리스도교의 훈련>이다. 따라서 가능하다면, 이 사상서도 같이 읽기를 바란다. 키에르케고어의 이 저서들은 전부 비슷한 시기에 출간되었고, 기독교를 최고의 이상까지 끌어올렸다.

그에 의하면, 기독교의 본질이 행위요, 본받음이다. 이 책의 1부가 이런 행위의 본질을 담고 있다. 그리스도를 따르는 자가 어떤 길을 가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의 2부를 읽으라. 후기 작품 중에 인간 실존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책이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면, 본서는 그리스도인이 실존 문제를 극복하고 어떻게 그리스도의 길을 가는지에 관계한다. 그리스도인이 제자가 되어 그 길을 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성령이다. 왜냐하면 누구도 “맨정신”으로는 그 길을 갈 수 없으니까. 따라서 본서의 2부는 그리스도께서 가신 “길”에 중점을 둔다면, 3부는 “성령”이다.

후기 작품으로 이런 관점을 공유하는 그의 저서는 <그리스도교의 훈련>이다. 이 책의 3부는 그리스도인이 어떤 “길”을 가는지 집중적으로 다룬다. 키에르케고어는 글 쓰는 방식이 독특하다. 자신의 이름으로 저술한 강화집(discourse)이 있고 가명의 이름으로 저술한 사상집이 있다. <그리스도교의 훈련>의 저자는 가명의 저자인 안티 클리마쿠스다. 안티 클리마쿠스는 키에르케고어가 내세운 가장 엄밀한 그리스도인이다. 같은 가명의 또 다른 저서로, <죽음에 이르는 병>이 있다. 곧,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사상적 배경을 알고 싶다면, <죽음에 이르는 병>과 <그리스도교의 훈련>을 읽으라.

가명의 저서는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핵심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나 단점이 있다면, 행함이 없는 “사고 실험”이다. 뿐만 아니라, 두 저서는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한 부정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을, <그리스도교 훈련>은 실족을 다룬다. 이에 반해 본서는 실족 대신에 믿음을, 절망 대신에 믿음의 승리를 말한다. 뿐만 아니라, 본서의 가장 큰 특징은 행함을 강조한다.

아마도 키에르케고어만큼 야고보서를 좋아하는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만큼 그는 행함을 강조했고,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제자도”를 강조했다. 하지만 문제는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삶은 세상에서는 “왕따”가 되어야 할 것처럼 보인다. 주님이 가신 그 길을 걷는 그 순간, 세상은 그런 자를 가만 두지 않을 것이고, 핍박이 따라올 테니까.

따라서 후기 작품인 이 두 저서를 깊이 있게 읽다 보면, 의문이 생긴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세상에서 버림받는 것인가? 그리스도인은 그의 행함으로 어떻게 세상을 변화시킨단 말인가? 하나님의 나라는 어떻게 이 땅에서 실현되는가? 아마 두 저서를 아무리 읽어도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키에르케고어를 통해 이런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 싶다면, 그의 저서 중 <사랑의 역사>를 읽으라. “사랑의 역사”란 곧 사랑의 행위를 의미한다. 제목 자체가 도발적이다. 그 당시에 덴마크 사회는 루터교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루터교의 핵심은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를 강조했다. 행위와 공로를 신앙에 가장 위험한 물건처럼 취급하며 제거해 버린 그 시대에, “행위”를 세운다는 것은 일종의 교회에 대한 반역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사랑의 역사>를 읽다보면, 행위를 강조하고 있으나, <자기 시험을 위하여>와 <스스로 판단하라>에서 나오는 행함의 강조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키에르케고어는 무엇보다 “내면의 변화”를 강조하는 글을 많이 썼으나, 어쩌면 유일하게 그런 개인이 세상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를 생각할 수 있는 그의 저서가 <사랑의 역사>이다.

<사랑의 역사>는 이웃 사랑이 사랑의 본질이 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웃을 사랑함으로써 믿는 자가 세상에 살아가는 방식을 전달하고 있는 책이다. 따라서 <자기 시험을 위하여>에 관심이 있는 독자가 있다면, <자기 시험을 위하여>와 <사랑의 역사>를 함께 읽기를 추천하는 바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