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독교3

이 말은 꼭 해야 한다, 그러니 말해두자 This Must Be Said—So Let It Be Said Dette skal siges; saa være det da sagt 1855 KW23, SKS14, SV14 여섯 번째 시기: 기독교에 대한 공격(1854-55년) 이 말은 꼭 해야 한다, 그러니 말해두자This Must Be Said—So Let It Be Said 기독교에 대한 공격을 소개하는 내용은 를 참고하라. 키르케고르는 에 20편을 출판한 후 를 별도로 출판했다. 첫 부분은 1854년 12월, 두 번째 부분은 1855년 5월이다. 5월 16일에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의 정직성에 관한 12편과 아주 흡사하다. 키르케고르는 다시 거짓 가르침과 거짓 의식에 참여하는 것보다 교회에 다니지 않는 것이 낫다고 주장하며 거짓 교회를 떠나도.. 2020. 4. 13.
권위에 대하여 권위Authority, Myndighed 키르케고르는 서문에 이렇게 쓰고 있다. ...이 작은 책은 저자가 설교할 권위가 없으므로 설교라 하지 않고 강화권위discourse, Taler라 한다. 또한 화자는 교사일 필요가 없으므로 '건덕적 강화'이지 덕을 세우기 위한 강화가 아니다. 그는 목사가 되기 위한 국가 시험에는 합격하였으나 국교회에 의한 자격 부여, 곧 안수Ordination를 받지 않았다. 이후 모두 87개의 강화를 자기의 실명으로 출판했지만, 끝까지 설교자가 아닌, 강화자로 남았다. 1847년의 기록물에 의하면,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권위는 왕이 되는 것을, 황제나 장군이 되는 것을, 무력을 갖는 것을, 사제가 되는 것을, 경찰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권위는 확고하고 의식적.. 2020. 1. 30.
기독교의 권위는 어디에 있는가? 진리의 증인에 대한 권위는 일반적인 전문가가 갖는 권위하고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어떤 분야에서 실력을 키운 사람들의 권위는 객관적으로 입증된다. 한 분야의 절대적인 실력가는 어떤 방면으로나 명확하게 그 결과가 나오기 마련이다. 의사의 권위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기술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변호사는 변호하는 그의 법적인 지식을 수행할 있는 능력으로 입증된다. 그의 객관적인 지식은 시험으로도 평가를 받을 수가 있다. 음악가의 능력은 그 분야에서 그가 만들어낸 창작적인 능력을 전문가와 대중들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모든 일반적인 전문가의 권위는 이런 식으로 입증되는 게 현실이다 보니 진리의 증인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평가하려 든다. 하지만 이것은 오해다. 진리의 증인은 입증이 불가능하다. .. 2019.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