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2

01 불안의 개념 소개 불안의 개념 역사적 소개 보기 불안의 개념 소개 원죄는 정말 아담의 죄일까? 전통신학의 문제 원죄의 사회학적 문제 키르케고르의 책 중에서 가장 어려운 책을 꼽으라면 나는 「불안의 개념」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불안의 개념」 서문과 1장은 가장 어렵다. 신학적인 배경 및 역사적 이해가 부족하다면 독해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헤겔 철학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헤겔의 논리학에 대한 비판이 있고, 전통적인 기독교의 원죄 개념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런 점들을 확인하고 직접 찾아보고 독해하지 않는다면, 「불안의 개념」의 저자인 비길리우스 하프니엔시스가 말하고자 하는 바에 도달하기 어렵다. 비길리우스 하프니엔시스(Vigilius Haufniensis)라는 가명의 의미는 “코.. 2020. 10. 2.
불안의 개념 The Concept of Anxiety: A Simple Psychologically Orienting Deliberation on the Dogmatic Issue of Hereditary Sin Begrebet Angest. En simpel psychologisk-paapegende Overveielse i Retning af det dogmatiske Problem om Arvesynden Vigilius Haufniensis 1844 SKS4, SV4 한글판은 다산글방 혹은 치우의 입춘갑 역과, 한길사의 임규정 역을 추천하는 바이다. 그림과 같다. 역사적 배경 및 참고 자료는 아래 역사적 해설을 참고하라. 역사적 해설 1 역사적 해설 2 두 번째 시기: 간접 전달(1843-46년) 불안의 개념.. 2020.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