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 번째 시기의 작품

불안의 개념

by 엉클창 2020. 4. 20.

  • The Concept of Anxiety: A Simple Psychologically Orienting Deliberation on the Dogmatic Issue of Hereditary Sin
  • Begrebet Angest. En simpel psychologisk-paapegende Overveielse i Retning af det dogmatiske Problem om Arvesynden
  • Vigilius Haufniensis
  • 1844
  • SKS4, SV4
  • 한글판은 다산글방 혹은 치우의 입춘갑 역과, 한길사의 임규정 역을 추천하는 바이다. 그림과 같다. 역사적 배경 및 참고 자료는 아래 역사적 해설을 참고하라.

임규정 역의 불안의 개념


두 번째 시기: 간접 전달(1843-46년)

불안의 개념The Concept Of Anxiety

비길리우스 하우프니엔시스는 코펜하겐의 경비원을 의미한다. 이 작품은 본질적으로 심리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기독교 교리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아마도 키르케고르는 새로운 (철학적이지 않은) 저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경비원"로서 키르케고르는 도시의 안녕에 대한 자신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던 것 같다. 그는 1854년 교회를 공격했을 때 그 역할을 더욱 깊이 수행할 것이다. 동반 작품인 <죽음에 이르는 병>은 안티 클리마쿠스가 떠맡았다. 키르케고르가 직접 의사소통의 시기를 시작한 1848년 이후 이전의 다른 모든 가명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그가 직접 전달을 시작했을 때이다.

키르케고르가 현대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린 것은 이 작품과<죽음에 이르는 병>을 통해서다. 이 작품에서 그는 기독교로 믿음의 질적 도약을 하기 전의 필연적 상태로서 불안을 있다는 것이다. 키르케고르는 원죄의 기독교 교리에 대한 조사에 집중한다. 작품의 부제가 이 연구를 설명해주고 있다. 그것은 결코 쉬운 의미에서 단순한 연구가 아니다. 사실, 이것은 키르케고르의 가장 어려운 작품 중 하나이다. 이 작품은 단순하다. 즉, 목적이 단 하나이다. 그래서 단순하다. 그는 도입부에서 우리에게 교리학이 철학보다 우세할 것이라고 말하지만 심리학적 결과로 이해된 교리학을 의미한다.

이 작품은 "불안"이라는 개념의 심리학적 치료를 과제로 삼았다. 하지만 원죄의 교리를 눈 앞에서와 마음 속에 언제나 간직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죄란 심리적 관심의 대상이 아니다. 잘못된 총명함의 봉사에 복종함으로써만, 심리학적으로 다룰 수 있다.... 따라서 죄가 미학으로 들어가게 되면, 죄가 놓여 있는 범주는 모순이고, 이것은 희극적이거나 비극적이기 때문에 기분은 가벼워지거나 우울해진다.... 형이상학에서 죄가 다루어진다면, 그 기분은 변증법적 통일성과 무관심것이 되고 만다. 여기에서는 죄를 사고의 철저한 조사를 견딜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만약 죄가 심리학에서 다루어진다면, 그 기분은 끈질긴 관찰의 기분이 된다. 하지만 이는 설교의 대상이다. 설교에서는 단독자가 단독자로서 단독자에게 말한다 (p. 14).

키르케고르는 교리학적인 측면, 즉 죄와 자유라는 교리학적인 측면을 벗어나서 설명하려는 심리학을 용납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교리적이면서 그것이 인간에게 미치는 심리학적 결과를 이해하기를 원했다.

키르케고르는 아담의 죄보다 불안이 먼저라고 단언한다. 불안은 그 자체가 죄가 아니라 자유의 심연에 직면했을 때의 영혼의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하나님이 아담에게 선악을 알게 하는 지식의 나무를 먹지 말라고 명했을 때, '선'과 '악'이라는 용어는 그에게 어떤 의미도 없었다는 것이다. 그의 무지는 진실로 행복이었다. 그러나 죄 앞에서 죄와는 별도로, 자유의 끔찍한 곤경이 불안을 낳았다. 또한 죄성(sinfulness)의 발현이 불안이다. 키르케고르는 나중에 그것을 언급한다. 그러나 우선 그의 관심은 모든 개인들이 아담이 소유했던 그 자유의 결과로서 똑같은 자유와 불안감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데에 있다. 따라서 우리는 죄인이기 때문에 죄를 짓는 것이 아니라 자유에서 벗어나 죄로 질적 도약을 통해 죄인이 되고, 따라서 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그때 불안의 표현이 죄인 것이다.

최초의 죄를 통해서, 죄는 세상에 들어왔다. 최초의 죄를 통해서 후대의 모든 사람들의 최초의 죄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타당하다.... 만일 후대의 모든 사람들의 최초의 죄가 죄성에 의해서 그렇게 생겨나는 것이라면, 그들 각각의 최초의 죄는 오직 비본질적인 방식에 의해서만 최초의 것으로 규정될 것이며, 인류의 보편적인 상환 자금으로 이 죄는 일련번호로 규정될 것이다. (이를 생각할 수 있다면 말이다.).... 창세기 이야기는 변증법적으로 일관된 유일한 관점을 보여준다. 그 모든 내용은 한 가지 진술에 집중되어 있다: 죄는 하나의 죄에 의해 세상에 들어왔다. 그렇지 않았다면 죄는 우연한 일로 세상에 들어왔을 것이다.... 그러므로 죄는 급작스럽게, 즉 비약(leap)으로 세상에 들어온다. 하지만 이 비약이 질(quality)을 정립하기도 한다. 이 비약은 질에 의해 전제되고 질 역시 비약에 의해 정립된다....이것을 정확하고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죄에 의해 아담에게 죄성(sinfulness)이 들어왔다고 말해야 한다.(불안의 개념, 한길사, 130쪽 이후 참고)

키르케고르는 서론에서 독자들에게 심리학적인 관심이 교리학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의 주된 목적은 교리를 이해하고 그것의 일관성을 논리적이고 심리학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키르케고르는 몇 가지 점을 지적한다.

첫째, 원죄의 교리에도 불구하고 키르케고르는 인간이 죄를 짓는 것뿐만 아니라 죄를 짓지 않는 것에서도 자유롭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어한다. 타락은 창조에 의해, 단순한 실존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둘째, 자유 그 자체는 불안을 일으키지만, 이 불안이 필연적으로 죄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다. 불안은 그 자체로 죄도 아니다. 

셋째, 키르케고르는 각 개인의 죄를 자신의 죄성에 토대를 두고자 한다. 아담이 죄를 지어서 자기 안에 죄성을 가져온 것처럼, 자유롭고 죄악이 없는 상태에서 각 개인의 죄도 죄를 지어서 비로소 죄성이 정립된다. 

넷째, 죄는 그 자체가 자유의 불안의 복합체인 불안을 불러온다. 이러한 불안은 죄인을 만들어 자유를 준 자에게 다시 인도할 수 있다. 따라서 불안은 믿음을 통해 구원될 수 있다. 

다섯째, 아담과 개인에 대한 최초의 죄는 질적 비약이다. 최초의 죄는 자유에서 죄성(sinfulness)으로의 비약이다.최초의 죄는 실존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하물며 자유에 의해 만들어지겠는가. 그래서 비약에 의해서만 설명될 수 있다. 영혼이 영혼을 창조한 자에게 되돌아오는 것, 즉 믿음을 통해 하나님께로 다시 비약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질적 비약에 의해 특정한 개인에게 죄가 정립될 때, 선과 악의 차이도 정립된다. 우리는 어디에서도 인간이 죄를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어리석은 죄를 짓지 않는다. 반대로, 우리는 항상 상상력으로 만들어진 모든 지식들에 대해 항의를 해왔다. 우리는 다시 우리가 반복하는 것을 말했고, 죄는 자유가 스스로를 전제로 하고 있는 것처럼, 죄는 스스로를 전제하고 있다고 말했다. 죄는 자유가 그런 것처럼, 죄에 선행되는것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자유가 자유의지(liberum arbitrium)로 시작한다고 주장하는 것....악뿐만 아니라 선도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필연적으로 모든 설명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선과 악을 자유의 대상으로 말하는 것은 자유와 선과 악의 개념을 모두를 유한화한다(finitize). 자유는 무한하고 무에서 생긴다. 그러므로 인간은 필연에 의해 죄를 지었다고 말하고 싶은 것은 비약의 원을 일직선으로 만든다(영역본 p.112). 

 

불안의 개념 표지

 

'두 번째 시기의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하네스 클리마쿠스  (0) 2020.04.22
철학의 부스러기(업데이트 중...)  (0) 2020.04.21
피상적 관찰(업데이트 중...)  (0) 2020.04.12
설명 및 추가  (0) 2020.04.12
작은 설명  (0) 2020.04.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