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유6 04 땅의 정복은 계속된다 보라, 내가 너희를 보냄이 양을 이리 가운데 보냄과 같도다. 그러므로 너희는 뱀 같이 지혜롭고 비둘기 같이 순결하라.(마10:16) 지난 시간에 우리는 “땅의 정복”에 대하여 이야기 했다. 이야기를 더 전개시켜보자. 정복 전쟁은 과거 시대나 있었던 구시대적 유물이 아니다. 나는 우리 사회 역시 이런 지배와 피지배관계, 주인과 노예의 관계가 더욱 깊숙하고 심오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사회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정복 전쟁의 피 터지는 싸움은 저 적들과의 총칼을 들고 싸우는 현장에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가정에, 학교에, 직장에, 우리 이웃이 있는 곳이면 어디에나 현존한다. 마치 이것은 조금 더 온화한 형태인 것 같으나 더 사악한 형태일 수 있다. 합법적 경쟁과 비교의 관계가.. 2020. 6. 18. 03 이 땅의 주인은 누구인가? 고대로부터 땅은 정복하고 정복당할 수밖에 없는 전쟁터였다. 역사를 연구하다 보면, 땅의 정복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대표적인 땅의 정복자로 예를 든다면, 알렉산더 대왕이었다. 그는 마케도니아의 왕으로 그리스, 페르시아, 인도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를 융합시킨 헬레니즘 문화를 탄생시켰다. 그는 여러 지역을 정복했고, 자신이 정복한 지역에 알렉산드리아라고 이름을 지은 70개의 도시를 건설했다고 한다. 그가 이룬 역사의 업적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대륙을 통일하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문화를 융합했다는 데에 있다. 하지만 BC 323년 바빌론으로 돌아와 아라비아 원정을 준비하던 중, 열병을 앓다가 33세의 나이에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한다. 역사는 이런 .. 2020. 6. 18. 고난의 복음 제 2 강화 해제 고난의 복음은 전체 7편의 강화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강화를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생각 속에 어떤 의미와 기쁨이 있는지 고난이 무겁다면 어떻게 짐이 가벼울 수 있는지 고난의 학교가 영원을 위해 교육하는 기쁨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사람이 항상 죄책으로 고난당하는 기쁨 환난당하는 길이 아니라 환난이 길이라는 기쁨 영원의 행복이 가장 무거운 일시적 고난보다 더 무겁다는 기쁨 담대한 확신이 고난 중에도 세상의 능력을 빼앗고, 그 능력으로 능욕을 영광으로, 파멸을 승리로 바꿀 수 있는 기쁨 이 중에서 이 강화는 두 번째에 해당된다. 두 번째 강화는 “고난의 짐”에 대해서 다룬다. 고난은 덴마크어의 “Lidelsen”을 번역한 것이다. 이 단어는 “고통, 고난, 괴로움”의 의미를 담고 있다. 역자.. 2020. 6. 6. 온유 리더십 고난의 복음 제 2강화: 고난이 무겁다면 어떻게 짐이 가벼울 수 있는지 기독교는 물질적 번영이나 사회적 번영을 보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주님은 자신을 따르는 제자들의 “번영”을 위해 오신 분이 아니다. 노예제도를 폐지하러 오신 분도 아니다. 이 부분에 대하여 사도 바울 역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네가 자유롭게 될 수 있거든, 그것을 이용하라. 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인이요, 또 그와 같이 자유인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고전 7:21) 누가 자유인인가? 나는 개인적으로 “온유한 종”이 자유인이라고 생각한다. 아무리 노예 신분이라 하더라도, 그가 자유에 대하여 염려하.. 2020. 5. 21. 무거운 짐을 가볍게 지는 온유 고난의 복음 제 2강화: 고난이 무겁다면 어떻게 짐이 가벼울 수 있는지 주님은 “내 짐은 가볍다”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주님의 짐은 가볍지 않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는 가벼운 짐을 가볍게 지는 법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고 무거운 짐을 가볍게 지는 법을 배우게 하려는 것이다. 세상에는 가벼운 짐을 무겁게 지고 가는 사람들이 있다. 누가 가벼운 짐을 무겁게 지는가? 조급한 사람이다. 조급한 마음은 언제나 시간에 쫓긴다. 토스트 기계에 들어간 식빵이 조금만 늦게 나와도 버럭 화를 낸다. 문을 열기 위해 비밀번호를 누르다가 잘못 눌러 열리지 않을 때도 문을 부수고 들어갈 것만 같다. 그때 그 광경을 지켜보는 사람은 그가 아주 무거운 짐을 진 것 같다. 그러나 무슨 일 때문에 그러는지 듣고 나면 허탈한 웃음이 나.. 2020. 5. 21. 제 2강화: 고난이 무겁다면 어떻게 짐이 가벼울 수 있는지 네 번째 시기: 두 번째 저술의 서막(1846-48년) 고난의 복음The Gospel Of Suffering 제 2강화: 고난이 무겁다면 어떻게 짐이 가벼울 수 있는지 이 강화는 무엇보다 "짐"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 강화가 강조하고 있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짐이다. 오직 이 짐만이 유익하다. 아래 링크를 통해 이 강화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소개한다. 제 2강화 소개 제 2 강화에 대해 소개한다. 무엇보다 키르케고르의 작품 중 과의 관계를 다룬다. 역시 동일한 구절을 사용하여 기독교의 복음을 논한다. 하지만 본 강화하고는 강조점이 다르다. 죄의 짐 그리스도는 실제로 인류가 지고 갈 수 없는 무거운 짐을 지고 가신 분이시다. 곧, 그리스도와 인간이 마치 짐을 나누어진 것처럼 생각하면 큰 착각이.. 2020. 5.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