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학과 인문학/키르케고르가 본회퍼에 미친 영향

제3회 본회퍼의 관념론 비판과 키르케고르

by 엉클창 2022. 7. 9.

제3회 본회퍼의 관념론 비판과 키르케고르

본회퍼는 철학의 관념론 유형에 반하는 것으로 《행동과 존재》에서 그의 주요 주장을 요약할 때, 키르케고르를 명시적으로 언급합니다. 본회퍼는 관념론에서 ‘나’는 철학의 출발점으로 간주된다고 주장합니다. ‘나’는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여기에서 어떤 객관적인 현실도 상실합니다. 본회퍼는 “그런 철학은 분명히 우리 자신이 실존한다는 것을 망각한다.”고 말했던 키르케고르를 소환합니다.[#보기 Bonhoeffer, Akt und Sein, p. 19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2, pp. 32–3; Act and Being, p. 39), summarizing Kierkegaard’s critique of idealism, cf. SKS 7, 114–20 / CUP1, 118–25. SKS 7, 173–89 / CUP1, 189–208. SKS 7, 274–89 / CUP1, 301–18. 《행동과 존재》김재진, 정지련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전자책 15%]

이미 《성도의 교제》에서 본회퍼는 키르케고르를 관념론을, 특히 현실과 시간의 관념론적 개념을 비판하는 사상가로 언급했습니다. 왜 본회퍼는 특별히 현실과 시간에 대한 관념론적인 이해에 비판적일까요? 현실에 대한 관념론[#보기 본회퍼에게 관념론은 칸트뿐 아니라 피히테와 헤겔도 포함한다.]의 개념은 ‘자기에 대한 앎과 자기 능동적 정신’으로 특징지어지기 때문에,[#보기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 Eine dogmat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 p. 12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 p. 26; Sanctorum Communio: A Theological Study of the Sociology of the Church, p. 46). “관념론을 위한 본질적 실재는 자기 자신을 알고 스스로 활동하는 정신이며, 따라서 진리와 현실에 참여하는 정신이다.” 《성도의 교제》유석성, 이신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전자책 12%] 관념론은 인식론적 영역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 영역에서, 하나의 ‘나’는 정신의 이 능력에서 타자와 같습니다. 현실의 인식론적 개념에 대응하여, 관념론은 시간을 마음의 순수한 형태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본회퍼의 판단에 따르면 인식론적 영역은 축소된 현실만을 나타냅니다.

본회퍼는 키르케고르와 마찬가지로 현실은 대신 구체적인 존재의 윤리적 결정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본회퍼는 “키르케고르의 윤리적인 사람 역시 구체적인 상황에서만 존재한다.”고 인정합니다.[#보기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 Eine dogmat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 p. 20, note 1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 p. 34, note 12; Sanctorum Communio: A Theological Study of the Sociology of the Church, p. 57, note 12). 성도의 교제》유석성, 이신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전자책 13%“구체적 상황으로부터 구체적 인격이 생겨난다는 것은 그리스도교적 인식이다.”] 이에 상응하여, 시간은 윤리적 결단의 순간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키르케고르와 마찬가지로 본회퍼는 역사적 범주로서 순간(Augenblick)[#보기 Cf.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 Eine dogmat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 pp. 13–14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 p. 28; Sanctorum Communio: A Theological Study of the Sociology of the Church, p. 48.) Cf. also Bonhoeffer, Barcelona, Berlin, Amerika 1928–1931,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0, p. p. 330; p. 333. (Barcelona, Berlin, New York: 1928–1931, in Dietrich Bonhoeffer Works, vol. 10, p. 365; p. 368.) 《성도의 교제》유석성, 이신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전자책 13%] 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순간’은 책임의 시간이요, 하나님과 관계하는 시간입니다.[#보기 Cf.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 Eine dogmat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 p. 14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 p. 28; Sanctorum Communio:. A Theological Study of the Sociology of the Church, p. 48). As a student Bonhoeffer had already mentioned with approbation the Kierkegaardian concept of Gleichzeitigkeit (contemporaneity) (see Dietrich Bonhoeffer, Jugend und Studium 1918–1927,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9, p. 308) in a seminar paper on scriptural hermeneutics in which Bonhoeffer discusses the hermeneutics of dialectic theology which referred to Kierkegaard’s concept of contemporaneity. Cf. as well his use of the term in his Christology lecture; Bonhoeffer, Christologie, p. 180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2, p. 294). 《성도의 교제》유석성, 이신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전자책 13%] 따라서 본회퍼는 키르케고르가 “현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노력한 것을 높이 평가합니다.[#보기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 Eine dogmat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 p. 20, note 1 (in Dietrich Bonhoeffer Werke, vol. 1, p. 34, note 12; Sanctorum Communio: A Theological Study of the Sociology of the Church, p. 57, note 12).]

 

 

#키르케고르 #본회퍼 #행위와존재 #카리스아카데미 #성도의교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