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기술9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1. 정규 표현식이란? 정규 표현식(Regexp or Regex)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의 집합을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 정규 표현식은 많은 텍스트 편집기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의 검색과 치환을 위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2. 정규 표현법 문 자 설 명 예 제 \ 다음에 오는 문자를 특수 문자, 리터럴, 역참조 또는 8진수 이스케이프로 표시합니다. "\\"는 "\"를 찾고 "\("는 "(" 찾습니다. ^ 입력 문자열의 시작 부분에서 위치를 찾습니다. ^abc -> abcdef ^a?bc -> bcdef, abcdef $ 입력 문자열의 끝 부분에서 위치를 찾습니다. t$ -> eat 동$ -> 홍길동 * 앞의 문자나 부분식을 0개 이상 찾습니다. ab* -> ab, aabb, abb, .. 2020. 9. 10. 서비타이제이션이란? 서비타이제이션은 Wandermerwe & Rada(1988)의 연구에서 최초로 제시되었으며 이후 기술발전, 사회변화 등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개선발전되고 있는 개념이다. 현재는 "제조기업 또는 제조산업의 벨류체인에 서비스를 융합함으로써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만족도 극대화를 추구하는 전략"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비교적 최근에 주창되었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개념인 관계로 'servitization', 'servisization', 'servisizing' 등 다양한 용어가 혼재하고 있다. 통상 제조업체가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형태를 의미했으나 반대로 서비스업체가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상품을 제작, 공급하는 (Service-productization) 개념도 포함되고 있.. 2020. 6. 20. 스마일 커브(Smile Curve) 스마일 커브는 오랜 명성을 자랑하는 대만 컴퓨 터 회사인 Acer 컴퓨터 창업자 Stan Shin(스탠 쉬)가‘Glowing Global’이라는 책에서 소개한 개념이다. 스마일 커브는 value chain에 따라 수익성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R&D, 제조, 유통, 서비스 등으로 이어지는 value chain 상의 수익 성을 분석할 때, 과거에는 제조업의 value chain 상 제조, 조립 과정에서 높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고, 연구 및 부품 생산, 서비스에서는 상대적으 로 낮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 의 많은 산업들에서 이와는 반대의 모습이 나타나 고 있다. 즉 반도체 등 R&D 및 부품생산하는 산 업에서 높은 부가가치가 창출되며, 유통 분야에서 도 과거와는 달리 높은 부가.. 2020. 6. 2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