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점3

Point of View(관점), Introduction(2) 의 두 번째 판이 이와 함께 따라오는 것 없이 출판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어쨌은 요점은 내가 종교적 작가가 될지 마음에 결정을 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확실히 내가 교회론적인 지점을 구했던 것은 이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것은 이후에 나왔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 . 그러나 의 두 번째 판은 결정적인 지점이다. (내가 실제로 이것을 근본적으로 고려했고, 이와 함께 더불어 출판될 "관점"을 썼으니까.) 그렇지 않았다면, 두 번째 판을 출판하는 데에 진지해지지 못했을 것이다.) 이는 결코 다시 오지 않는다. 이 기회가 활용되지 않는다면, 내가 쓴 모든 것은 전체를 고려할 때, 심미적인 것으로 끌어내려질 것이다.1) 하지만 그때에 과업은 괴로울 정도로 복잡했다. 간접 전달(가명성pseudonymity).. 2020. 1. 25.
Point of View(관점), Instruction(1) 는 1843년 2월 20일 가명으로 출판되었다. 는 1843년 5월 16일 키르케고르의 본명으로 출판되었다. 그후 7년 동안 두 종류의 시리즈물 저작물들이 쏟아져 나온다. 하나는 가명의 작품이고 하나는 본명의 작품이다.1) 1846년까지 8개의 가명의 작품과 7개의 본명의 작품이 출판되었다. 만 1849년에 완판되었다.2) 출판인이었던 Reitzel은 1847년에 두 번째 판을 출판하고 싶어 했다. 다른 출판인이었던 Philipsen 역시 흥미를 가졌다.3) 1849년 5월 14일, 출간 이후, 책은 전부 소진되었고, Reitzel이 두 번째 판을 출판하였다. 일반적으로 작가들은 작품의 후속 판을 환영한다. 조금도 지체 없이 출간되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키르케고르는 다르다. 가명의 작품(미적인 것)과 본.. 2020. 1. 25.
02 관점의 이질성 그러므로 예수께서 자기를 믿는 유대인들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으로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요8:31-32)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요14:6) 진리에 관한한, 기독교와 세상이 관점을 공유할 수 없다는 데에 동의하십니까? 여러분들이 동의할 수 없다면, 조금만 더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진리가 무엇입니까? 세상에 진리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질문을 던져보십시오. 아마도 아주 다양한 목소리가 나올 것입니다. 그러나 기독교는 아주 단순합니다. 진리란 단 한 마디로 요약될 수 있는 것이지요. 즉,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단순하게 “예수 그리스도”라는 말로 요약된다.. 2019. 7.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