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리학4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정리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은 여러 부문에 걸쳐서 대단히 큰 것이었으나, 어느 부문 보다도 논리학(論理學)에서 가장 컸다. 고대 말기, 형이상학에 있어서는 아직도 플라톤이 우월성을 보이고 있었을 때, 논리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를 권위자로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의 이 지위는 중세를 통해 존속되었다. 기독교 철학자들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부문에서도 우월성을 인정하게 된 것은 13세기에 가서야 비로소 이루어진 일이었다. 이 우월성은 문예부흥 이후에는 대체로 퇴색되었다. 그러나 논리학에서 그의 우위는 그대로 남아 있었다. 오늘날에 있어서도, 모든 카톨릭의 철학 교사들과 그 밖의 많은 사람들이 계속해서 완고하게 현대 논리학의 새로운 발견들을 거부하며,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과도 같이 낡은 이 체계에 집착한.. 2022. 2. 12.
헤겔의 논리학과 키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 3장 정리 영역본 241쪽 각주 1) 더 작은 논리학(the lesser logic)학은 헤겔이 이행의 범주를 다루고 있는 몇 군데 중에 하나이다. 개념의 전진하는 운동은 이행도, 다른 무언가의 반성도 아니다. "다른 무언가로의 이행은 존재 범위 안에서의 변증법적인 과정이다. 즉, 본질의 범위 안에서의 반성(다른 무언가가 분명히 밝혀짐)이다. 이 개념의 운동이 발전(developement)이다. 이 발전에 의해서 이미 암묵적으로 현존해 있던 것이 명확해진다." (Encyclopadie, Part One, Die Logik, ∮161 and Zusatz, Werke, VI, PP. 317-18; J. A., VIII, p. 355; Hegel's Logic, pp. 224-5) 키르케고르는 헤겔의 논리학이 이행을 설.. 2021. 12. 23.
헤겔의 논리학 요약(영역본) 모든 구체성을 빼앗길 때, 본질의 개념은 "무(nothing)"와 동일하다. 무와 무전제성에 대하여는 다음을 참고하라. Hegel's Wissenschaft der Logik, Werke, III, pp. 63, 68; J. A., IV, pp. 73, 78. "그러나 전제가 없다면, 즉각적으로 시작 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면, 오직 그 결정이 논리학의 시작, 그 자체로 사유의 시작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현존하는 모든 것은 단순히 보유(resolve)다. 이것은 임의적인 것으로 여길 수 있고, 우리가 그 자체로 사유로 고려하기 위헤 제안된 것이다.따라서 시작은 절대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혹은 동일한 말로, 추상적인 시작이 되어야 한다. 그때 이것은 어떤 것도 전제하지 않는다. 어떤 것으로 매개되지도 .. 2021. 12. 18.
헤겔의 논리학 일부(영역본) C Being-for-self in Measure Chapter 2 Real Measure A The Relation of Self-Subsistent Measures (a) Combination of Two Measures (b) Measure of a Series of Measure Relations (c) Elective Affinity Remark: Berthollet on Chemical Affinity and Berzelius's Theory of it B Nodal Line of Measure Relations Remark: Examples of Such Nodal Lines; the Maxim, 'Nature Does Not Make Leaps' § 774 The system of natu.. 2020.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