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새가 소유에 대한 염려가 없는 이유 새는 도랑에서 목을 축이나, 아름답고 넓은 호숫가에서 목을 축이나 소유에 대한 생각이 없습니다. 창고도 없습니다. 넓은 호수를 갖기 위해 싸움을 하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새에게는 소유에 대한 염려가 없습니다. 도대체 얼마나 많이 가져야 만족할 수 있습니까? 새가 소유의 염려가 없는 이유는 정확히 말에 “소유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갖는다는 것이 무엇인지 개념정리가 아주 잘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복음은 뭐라 말합니까? 저 하늘의 새를 보라고 말합니다. 왜 보라고 했을까요? 새처럼 살아야 하기 때문에 보라고 한 것 아닙니까? 새를 보고 느끼는 바는, 새가 염려가 없다는 점 아닙니까? 소유의 생각, 이게 새에게 없습니다. 무지합니다. 요즘 코로나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힘든 삶을 살아.. 2020. 9. 8.
03 사람인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이북 소개) 염려의 완전성이란? 사람인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논의는 백합에서 새로 이동한다. 새의 수업은 백합의 가르침과는 다르다. 그는 새가 생계에 대한 염려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시작한다. 새는 "순간에만 살기" 때문이다. 게다가, 새는 영원에 대한 의식도 없고 시간에 대한 의식도 없다. 하지만 사람은 시간과 영원에 대한 의식이 있다. 이런 점에서 사람은 오직 미래에 대한 의식으로만 생계 making a living, Næringssorg에 대해 염려한다. 시간적인 것과 영원한 것은 많은 방식에서 서로 고통스럽게 접촉한다.1) 그러나 특별히 고통스러운 접촉 중의 하나가 생계에 대한 염려이다.(본문 중에) 하지만 키르케고르는 여기에서 책망을 강조하지 않는다. 복음의 책망은 생계에 대한 염려보.. 2020. 1. 27.
6강 키르케고르의 제자도(새와 백합의 모범은 무슨 의미가 있는가?) 사람은 근본적으로 미래의 불확실성을 싫어한다.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면 마음부터 불안하다. 주식시장이 요동을 치면 마음이 불안해진다. 금전적인 손실도 크지만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으로 인해 마음의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아마 주식 시장만큼 예측기법이 많이 발전한 곳도 없을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어떨까? 인공지능 기술도 확률통계 기반으로 한 예측 기술 중에 하나이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중의 하나는 미래에 대한 예측기술일 것이다. 앞으로 다가올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예측은 필요하다. 금전적 손실, 병으로 인한 건강 악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과 같은 것들이 이런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일 것이다. 조금 더 좁혀, 예언기도를 받으러 가든가, 무당에게 찾아가 미래에 대한 .. 2019. 12. 11.
01 새는 이 염려가 없다 그러므로 염려하여 이르기를, “무엇을 먹을까, 무엇을 마실까, 무엇을 입을까?” 하지 말라. 이는 다 이방인들이 구하는 것이라. 새는 이 염려가 없습니다. 새는 무엇을 먹고 살까요? 이런 점에서는 우리는 백합에 대하여 말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 문제는 백합에게는 쉬우니까요. 백합은 공기를 먹고 삽니다. 그러나 새는 무엇을 먹고 살까요? 누구나 알다시피, 주민 센터는 염려해야 할 많은 일들이 있습니다. 때로는 먹고 살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는 사람들을 걱정해야 하고, 때로는 먹고 살만한 것은 있으나 그것에 만족할 수 없는 사람을 걱정해야 합니다. 그를 불러 무엇으로 먹고 사는지 묻기도 합니다. 그때, 새는 무엇을 먹고 살까요? 확실히 새가 창고에 모아들이는 것은 없습니다. 왜냐하면 새는 창고.. 2019.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