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ighteen Upbuilding Discourses
- Atten Opbyggelige Taler
- 1843-45 (published in portions: Two, 1843; Three, 1843; Four, 1843; Two, 1844; Three, 1844; Four, 1844)
- KW5, SKS5, SV5
두 번째 시기: 간접 전달(1843-46년)
열여덟 편의 건덕적 강화Eighteen Upbuilding Discourses
1843년 키르케고르는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주제에 관한 익명의 글과 자신의 이름으로 쓰여진 종교적인 작품들에 대한 이중의 저술을 시작했다. 그의 가명이 쓴 작품의 목적은 주로 헤겔의 "체계"와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한 무비판적이고 냉정한 견해를 훼손하는 데 있었지만, 철학적 작품들과 동반하여 쓰여진 종교적 강화들은 키르케고르가 처음부터 종교적인 작가였다는 것을 강조하는데 기여했다. 이런 사실들이 간과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는 이런 사실을 강조하려 했다. 이 작품들은 본래 종교적이지만 철학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 작품들은 모든 무분별한 비평가들을 위해 준비된 해독제다. 그들은 키르케고르가 종교적 기질이 있다고 말하는 한편, 어떤 생각의 핵심에 도달하기 위해 너무 쉽게 이런 사실을 뒤집기도 했다. 종교적인 강화들은 가명의 작품들만큼 키르케고르의 저술 계획의 일부분일 것이다. 그는 개인적으로는 처음부터 종교적인 강화들을 쓸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이중의 저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키르케고르의 저술 방법>을 참조하라.
나는 <이것이냐 저것이냐>와 <두 편의 건덕적 강화>로 시작했다. 이제 그것은 전체 건덕적 시리즈 이후, 약간의 미적 에세이[위기]로 끝난다. 그것은 다음을 표현한다: 발전해야 할 것은 건덕적인 것, 종교적인 것이다. 그리고 이제 심미적인 것은 가로질러 갔다; 그것들은 역으로 관계한다. 혹은 역대립의 어떤 것이다, 그것은 작가가 시간이 흐르면서 나이를 먹고 그 이유로 종교적으로 되어 버린 미적 작가가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Journal, IX A 227).
<저자로서 나의 작품에 대하여>에서 그는 저술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전달된 것(종교적 사고)이 전적으로 반성적 관점에서 해석되었다가 다시 반성에서 복귀되듯, 전달의 형태 또한 결정적으로 반성에 의해 표시되었다; 다시 말해, 반성에 적합한 전달의 종류로 사용되어 왔다. '직접 전달'은 진리를 직접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성적 관점에서 전달'이란 사람을 속여 진리에 빠지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 운동의 목적은 단순성을 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달은 조만간 직접 전달로 끝나야 한다. 그것은 미학적 작품과 함께 산파술적으로 시작했다. 모든 가명의 작품은 산파술적이다. 이것은 이 작품들이 가명인 이유다. 반면 직접적이고 종교적인 전달(번뜩이는 제안으로 처음 등장했다)은 나의 이름을 갖고 있다. 직접 전달은 처음부터 있었다. 1843년의 <두 편의 건덕적 강화>가 실제로 <이것이냐 저것이냐>와 동시에 나왔기 때문에 처음부터 직접 전달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직접적인 종교적 전달을 확실히 동시대에 확립하기 위해서, 각각의 새로운 가명들은 문제를 설정한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의 등장까지 거의 동시에 약간의 <건덕적 강화>를 곁들이게 되었는데, 이것은 전체 저술의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즉, '기독교인이 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p. 7f).
위의 작품에서, 키르케고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처음부터 '권위가 없었다'는 것을 강조하고 또 반복했다. 나는 나를 저자가 아니라 오히려 책을 읽는 사람으로 여긴다. "하나님 앞에서" 종교적으로 나는 내 모든 작품을 작가로서의 (나 자신에 대해 말할 때) 내 자신의 양육과 발전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양육과 발전이 필요한 것에 대해 내가 지금 완전하거나 또는 완전히 끝난 것처럼 그런 의미에서는 아니다(p. 12).
대부분의 강화에서는 공통된 요소가 있다. 첫째, 각 강화는 동일한 헌사가 있다. 헌사는 다음과 같다.
"나의 선친,
고 미가엘 페더슨 키에르케고어를 기념하여
이 작은 책을 바칩니다."
둘째로, 이 작품들에 대한 서문에서 키르케고르는 그의 역할과 강화의 역할을 정의한다. 그에게 권위가 없었기 때문에, 그것들은 설교가 아니라 강화라는 것이다. 셋째, 강화는 "고독한 개인"을 위한 것으로서, 그는 하나님 앞에 홀로 있는 독자다. 그것은 또한 그의 전 약혼자인 Regine Olsen에 대한 언급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하워드 홍은 키르케고르가 "성찰(deliberation)"과 "건덕적 강화(upbuilding discourse)"를 구별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예를 들어, <사랑의 역사>는 성찰이다. 성찰이란 행동을 자극하려는 목표로 각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성찰은 "잔소리꾼(gadfly)"이다. 건덕적 강화는 설득하고, 감동을 주고, 부드럽게 하고, 안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여기서 첫 번째 강화의 서문을 전부 인용한다.
이 작은 책은 (이것이 '강화'라 불리고 설교라고 불리지 않는 것은 그 저자가 설교할 권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며, '건덕적 강화'라 불리고 건덕을 위한 강화라고 불리지 않는 것은 강화자가 전혀 교사일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오로지 있는 그대로의 것, 말하자면, 있으나 마나 한 것이기를 원할 뿐이며, 아무도 모르게 태어났듯이 그렇게 남 몰래 머물러 있기를 갈망한다. 그러나 나는 공상에 가까운 희망을 품지 않고서는 이 책과 헤어질 수 없다. 이 책은 간행됨으로써 비유적으로 말해, 일종의 나그네의 길을 떠난다고 할 수 있는 한, 나는 잠시 이 책의 가는 길을 뒤쫓아 가보았다. 그때, 이 책이 씁쓸한 길을 걷기도 하고 홀로 외로이 넓은 국도를 걸어가는 것을 보았다. 한두 번 언뜻 보아 비슷하기 때문에 속아서 오해한 다음에 마침내 이 책은 내가 기쁨과 감사함으로써 나의 독자라고 부르는 저 한사람을 만났다. 이 책이 찾는, 이 책이, 말하자면, 두 팔을 벌리는 저 한 사람을, 만남의 순간에 그 만남이 기쁘고 위로를 받는 것이든, "피곳한고 근심에 찬 것"이든, 다정히 발견해 주는 저 한 사람을, 다정히 이 책을 맞아주는 저 한 사람을 만난 것이다. - 그러나 또한 이 책은 간행되었었어도 본디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었으며, 그런 한, 나는 잠시 내 눈을 그 위에 머물게 했다. 그때, 이 책은 거기에, 말하자면, 큰 숲의 은밀한 곳에 피어 있는 한 송이의 작은 꽃처럼, 찾는 이에게 아무런 화려함도 향기도 양분도 내보내지 않고 서 있었다. 그러나 나는 또한 그때에, 내가 나의 독자라고 부르는 작은 새가 홀연히 이 꽃을 보고 날아 내려와 그것을 따 가지고 가는 것을 보았다. 아니, 본 것처럼 생각하였다. 그리고 나는 이것을 본 후에는 아무 것도 보지 못했다.
코펜하겐 1843년 5월 5일
S.K
(표재명 교수 번역 인용)
키르케고르는 일기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건덕적 강화와 성찰의 차이 성찰은 개념적 기준을 제시하고 이해한다고 전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은 동정심, 진정, 위로를 일깨우고, 설득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을 흥분시키고 초초하게 하고 그들의 생각을 날카롭게 하기도 한다. 또한 성찰을 위한 시간은 행동 전이며 따라서 모든 요소를 적절히 움직여야 하는 문제다. 성찰은 '잔소리꾼(gadfly)'이어야 한다. 따라서 건덕저거 강화와는 상당히 다른 색깔이어야 한다. 건덕적 강화는 분위기에 달려 있는 반면, 성찰의 분위기는 좋은 의미에서, 조급하고 활발하다. 여기서 아이러니가 필요하고 코믹한 부분이 상당 부분 필요하다. 가끔 웃을 수도 있다. 만약 그것이 생각을 더 명확하고 두드러지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면. 사랑에 대한 건덕적 강화는 사람들이 정말로 사랑이 무엇인지 알고 그것을 위해 그들을 얻으려고 하고, 그들을 움직이기 위해 노력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 사실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찰'은 먼저 그들을 좁은 지하실 계단으로 불러들이고, 그들을 불러들여야 하며, 진리의 변증법적 변화로 그들의 편리한 사고방식을 뒤집어 놓아야 한다(VIII I A 299).
키르케고르는 종교성의 두 가지 형태를 말한다. 하나는 종교성 A, 다른 하나는 종교성 B다. 그는 나중에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에서 이 둘에 대해 정의한다. Swenson은 Lowrie가 인용한대로 다음과 같이 이 두 형태를 정의한다.
종교성 A는 신적인 것과 수동적인 관계를 갖는 것이 특징이며, 그에 수반되는 고통과 죄의식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종교성 B와 구별된다. 혹은 초월적인 종교와 구별된다. 개인을 신적인 것과 결속시키는 끈이 모든 긴장에도 불구하고 본질적으로 온전하다는 점에서 초월적인 종교와 구별된다.... 초월적인 종교의 특색은 간단히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죄의식을 죄의식으로 변형시키거나 변형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데, 그 속에서 모든 연속성이 실제 자기와 이상적인 자기, 시간적 자기와 영원한 자기 사이에서 단절된다. 그 인격은 무효가 되고, 따라서 하나님의 율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데, 그것은 그 요구를 들어줄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과 신 사이에는 근본적인 접촉점이 남아 있지 않다; 인간은 신과 절대적으로 달라졌다. (A Short Life of Kierkegaard, p. 173f.)
ㅁ
ㅁ
ㅁ
ㅁ
ㅁ
ㅁ
ㅁ
ㅁ
ㅁ
ㅁ
ㅁ
'두 번째 시기의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명 및 추가 (0) | 2020.04.12 |
---|---|
작은 설명 (0) | 2020.04.11 |
하이버그 교수에 대한 감사의 말 (0) | 2020.04.11 |
누가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저자인가? (0) | 2020.04.10 |
이것이냐 저것이냐(업데이트 중) (0) | 2020.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