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기술

반복과 차이의 문제

by 엉클창 2022. 2. 26.

 

프랑스 대표 철학자 들뢰즈는 너와나의 다름을 구분하기 위한 ‘차이’를논하지 않았다. 그가 말하는차이는 사람과 사물이 존재하는 그 자체로 지닌 고유성율 일컫는다. 반복적으로 대상을 관찰하고, 경헝을 해야 그 고유성을 이해할 수 있다. 들뢰즈의 철학은 차별화를 통한 생산과 소비를 주창하는 포스트 포드주의의 차원도 뛰어넘었다. 그는 기계의 반복성 자체에서 새로운 의미와창조성을 발견하고, 개개인마다 지닌 개성과 취항 등은 어떠한 분류로도 그룹 지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기계의 학습을 통한 창조, 빅대이터를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를제공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움직이는 메커 니즘과 흡사하다.

인상주의의 그림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프랑스 인상주의 작가의 작품은 오늘낱에도 많은 미술애호가에게 사랑받는다. 하지만 인상주의 작가들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 상황은 정반대였다. 그들의 작품은 화단에서 혹평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전시를 거부당하기까지 했다. 표면적으로는그들의 작품이 비도덕적 이라는 이유를 들었다. 하지만 문제작이라고 물렀던 작품듣도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전통적인 관행을 따르고 있었다. 마네 (Eduard Manet) 는 도덕적인 스캔들을 일으켰던 그의 작품 ‘폴밭 위의 식사’라는 작품의 모티브를 지오르지네의 고전적인 누드 작품에서 따왔으므로 스캔들이 생기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보였다. 사실 인상주의 작가들에 대한 사람들의 분노는 재도권 학교인 아카데미 중심의 기성 화가들이 주도했다. 이들이 참을수 없었던 것은 인상주의 화가들의 비도덕이 아닌 미술에 대한 ‘개념 없는 태도' 였다, 기성 화가들은 미술은 체계적인 과정에 의해서 오랜 기간 숙련 기간의 산물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풀밭 위의 점심식사

마네가 베껴온 그림을 보면 다음과 같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이 원칙을 무시했다. 밑그림 작업인 데생을 거치지 않은 즉흥적인 형태와 불분명한 실루엣, 거친 붓 터치는 마치 아마추어 화가의 그림 혹은 미완성의 그림처럼 보였다. 한 마디로 이들에게 인상주의 예술이란 미술이라는 개념을 무시한 개념 없는 사람들의 조잡한 예술에 불과했다. '인상주의(impressionism)'에서 '인상(impression)'이라는 말도 그것이 비록 모네의 '해돋이, 인상'이라는 작품에서 나온 것이기는 했지만 '인상주의'라는 용어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그저 눈에 보이는 주관적인 인상을 담은 그림이라는 경멸을 담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인상주의자들은 자신들이 현실의 주관적인 인상이 아닌 진정한 현실을 그리고 있다고 믿었다. 인상주의자들이 보기에 기성 회화는 진정한 현실의 묘사가 아니다. 아타데미의 전통의 관점에서는 누가 보더라도 그 사물이 무엇인지를 인지할 수 있는 사물의 항구불변의 모습을 묘사하는 것이 화가의 미덕이다. 가령 사과를 그린다면 어느 누가 보더라도 분명하게 사과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명확한 묘사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물에 대한 정확한 데생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물이 지닌 고유한 색을 정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인장주의자는 이러한 아카데미즘의 전통이야말로 허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생각했다. 현실 속에 불변하는 사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과만 하더라도 시시각각 변한다. 우리에게 알려진 사물의 시각정보는 오로지 빛의 반사에 불과하다. 시각적으로 항구적이며 불변하는 사과는 불가능하다. 우리가 떠올리는 사과는 사과라는 개념뿐이다. 이에 반해 인상주의자들은 매 순간 시시각각 변하는 찰나의 사과를 표현하고자 한다. 그들이 데생을 거부하고 매우 짧은 시간에 사물의 모습을 묘사하려는 이유다.

다시 말해, 인상주의 화가들이 사과를 묘사하기 위해 포기한 것은 사과라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이러한 개념을 포기하고 얻는 대가는 매 순간 고유한 모습을 띠고 나타나는 세계, 즉 차이로서의 세계이다. 모네가 루앙성당의 건너편에 카페에 앉아 시시각각 변하는 성당의 모습을 반복해서 그리는 것은 바로 루앙성당의 진정한 모습을 포착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불변하는 루앙성당, 즉 루앙성당의 추상적인 개념을 그리는 것을 포기 했다. 대신 매 순간 드러나는 '차이'로서의 현실 자체를 그림에 담았다.

루앙 대성당 연작

이렇듯 현실은 '차이'의 세계이며 개념은 추상일 뿐이다. 이전에는 예술을 비롯해 철학이나 종교, 정치, 심지어 교육에서마저도 불변하는 어떤 것, 즉 추상적인 개념의 중요성만을 강조했다. 차이란 바로 개념의 폭력에 의해서 감추진 현실 세계의 모습이다. 프랑스 현대 철학자 들뢰즈가 1968년 펴낸 저서 [차이와 반복]은 추상적인 개념에 의해서 억압된 차이의 논리를 회복함으로써 우리가 현실에 한 발짝 더 발을 들여놓을 수 있는 지폄을 열조하 했던 철학적 시도다.

 

동아, DBR, SR6.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244호(2018년 3월 Issue 1호) 참고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8547/ac/autho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