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82

Felix Culpa Felix Culpa(펠릭스 컬파)는 "행복한" 혹은 "복된"을 의미하는 'Felix'와 "잘못" 혹은 "타락"을 의미하는 'Culpa'에서 나온 라틴어 구절이다. 따라서 이 구절은 "행복한 잘못" 혹은 "행복한 타락"으로 옮길 수 있다. 종교철학적 측면 신학적 개념으로, 펠릭스 컬파는 타락을 긍적적 결과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한 인류의 구원과 같은 것이다. 이 개념은 본질적으로 역설적이다. 왜냐하면 불행한 사건에 대한 행복한 결말을 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는 불행한 사건 없이는 불가능하다. 종교철학적인 면에서, 펠릭스 컬파는 악의 문제에 대한 대답으로 신정론의 범주에서 논의될 수 있다. 타락에 대한 해석으로, 이 개넘은 타락에 대한 부정적인 .. 2022. 3. 5.
최고선이란 무엇인가?(키르케고르) 참고자료는 아래를 클릭하십시오 최고선이란 무엇인가(칸트) 최고선이란 무엇인가(아리스토텔레스) 최고선에 대해 칸트와 아리스토텔레스를 비교하는 것은 유익하다. 먼저, 아리스토텔레스는 최고선이 행복이라 말했다. 하지만 그의 이런 사고는 행복을 이루기 위한 수단을 정당화는 문제가 내재될 수 있다. 칸트는 최고선과 최상선을 구분했다. 누군가 최고의 이상적인 도덕을 실천하면 그는 최상선에 이르는 것이지 최고선에 이른 것은 아니다. 칸트에게서 중요한 것은 행복보다는 도덕적 이상을 이루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이다. 최상선을 실천한다 하더라도 행복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역으로 세상에서 온갖 죄를 범하고도 그런 사람이 더 행복할 수 있다. 선을 행하고도 불행해지거나 오히려 악을 행하고도 행복한 경우는 모두 최.. 2022. 3. 1.
최고선이란 무엇인가?(아리스토텔레스) 최고선이란 무엇인가?(칸트) 최고선이란 무엇인가?(키르케고르)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최고선 정리합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인간의 행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목적이 행복(eudaimonia)이라는 것과 이 행복은 인간의 고유한 기능이 탁월하게 발휘되는 품성 상태인 덕에 따른 활동임을 논증하고 있다. 인간은 자신의 고유한 기능이 발휘되는 모든 측면에서 덕에 따른 활동을 통해, 특히 인간 안의 가장 신적인 부분인 지성의 관조적 활동을 통해 진정한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과 사상은 많은 부분 고전 비극, 호메로스의『일리아스』와 같은 고전 서사시에 등장하는 영웅들의 감정과 말, 행동을 바탕으로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일차적인 이.. 2022. 3. 1.
최고선이란 무엇인가?(칸트) 최고선이란 무엇인가(아리스텔레스) 최고선이란 무엇인가(키르케고르) 칸트가 말하는 최고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천 이성의 대상, 객관은 최고선이다. "순수 실천 이성으로서 이성은 (경향성과 자연적 필요에 기인하는) 실천적으로-조건 지워진 것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무조건자를 찾는바, 그것도 의지의 규정 근거로서가 아니라, 이것이 설령 (도덕 법칙에서) 주어졌다 할지라도, 순수 실천 이성의 대상의 무조건적 총체를 최고선의 이름 아래서 찾는다."(194) 물론 이때 대상이라고 하는 것은 최고선이 실천이성을 규정하는 규정 근거라는 의미는 아니다. 실천 이성을 규정하는 근거는 오직 도덕 법칙일 따름이다. 그러나 도덕 법칙에 의해 규정되는 실천이성도 객관을 가질 수 있다. 바로 그 객관이 최고선인 것이다. .. 2022. 3. 1.
헤겔의 수 개념, 미분계산의 철학적 정당화 이병철 동아대 철학교수 1.서론 헤겔은 논리학 1권 量 장에서 수 개념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전개했다. 또한 그는 근대 수학 철학의 핵심적인 문제였던 미분 개념의 확립과 미분 계산의 정당화를 위하여 엄청난 주석을 달아 놓았다. 물론 헤겔의 수 및 미분학에 대한 논의는 무한의 개념과 연관하여 전개되었는데, 일찍부터 그의 무한 개념에 관해서는 많은 해석가들이 주목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그의 논의에서 기초가 되었던 수 및 미분학에 대한 논의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었다. 다만 수학사에서 후일 미분학의 원리를 최종적으로 확립했다고 일컬어지는 Karl Weierstass(1815-1897)가 헤겔의 논의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되고 있을 뿐, 여기에서조차 그가 헤겔의 사고로부터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한 설.. 2022. 2. 26.
반복과 차이의 문제 프랑스 대표 철학자 들뢰즈는 너와나의 다름을 구분하기 위한 ‘차이’를논하지 않았다. 그가 말하는차이는 사람과 사물이 존재하는 그 자체로 지닌 고유성율 일컫는다. 반복적으로 대상을 관찰하고, 경헝을 해야 그 고유성을 이해할 수 있다. 들뢰즈의 철학은 차별화를 통한 생산과 소비를 주창하는 포스트 포드주의의 차원도 뛰어넘었다. 그는 기계의 반복성 자체에서 새로운 의미와창조성을 발견하고, 개개인마다 지닌 개성과 취항 등은 어떠한 분류로도 그룹 지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기계의 학습을 통한 창조, 빅대이터를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를제공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움직이는 메커 니즘과 흡사하다. 인상주의의 그림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프랑스 인상주의 작가의 작품은 오늘낱에도 많은 미술애호가에게 사랑받는다. 하지만 인상주.. 2022. 2. 26.